[안솔지의 잇사이트] 소비자 불만 '모르쇠'…'막가파식' 가격 인상 언제까지?
상태바
[안솔지의 잇사이트] 소비자 불만 '모르쇠'…'막가파식' 가격 인상 언제까지?
  • 안솔지 기자 digeut@cstimes.com
  • 기사출고 2023년 02월 16일 08시 07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안솔지 기자 | 지난해 내내 이어졌던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이 새해 벽두까지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글로벌 곡물가와 유가가 오르자 식품업계는 일제히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하반기에는 환율이 치솟으면서 또 한 차례 제품 가격을 올렸다.

실제로 지난해 2분기 기준 소맥과 팜유 가격은 전년 대비 50% 이상 올랐고 1200원대였던 환율도 1400원대를 기록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았다.

결국 식품업계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을 내세워 줄인상에 나섰다. 가격 인상 주기도 짧아졌다. 1년 새 두세 차례가량 인상이 이어지면서 '1년에 한 번'이라는 불문율이 깨진 것이다.

빙그레의 경우 지난해부터 아이스크림 등 주요 제품 가격을 세 차례나 올렸다. 지난 12월 편의점 아이스크림 가격을 10% 올린 데 이어 올해 초엔 메로나 등 아이스크림 가격을 20% 올렸다.

롯데제과는 이달부터 과자와 아이스크림 제품값을 최대 2000원 인상했다. 지난해에는 4월과 8월 각각 과자와 아이스크림, 육가공 및 간편식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맥도날드는 16일부터 일부 메뉴 가격을 평균 5.4% 인상했다. 지난해 8월 인상 이후 6개월 만이다.

써브웨이는 지난 1일 샌드위치와 샐러드 제품 가격을 평균 5.1% 인상했다. 지난해 1월과 7월에 이어 세 번째 가격 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문제는 지난해와 달리 시장 상황이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하는 세계식량지수는 지난해 3월 159.7로 정점을 찍은 뒤 하향세를 지속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과 비슷한 수준을 회복했다. 1400원까지 치솟았던 원·달러 환율은 1280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밀가루와 팜유 가격도 지난해 하반기부터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들이 반발하는 지점도 이 부분이다. 가격 인상 요인이 안정화를 찾고 있는데도 왜 제품 가격은 1년에 수차례씩 오르기만 하냐는 것이다. 게다가 어려움을 호소하며 가격 인상을 단행한 것과 달리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는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소비자들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

식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원재료 값이 반영되기까지 3~6개월의 차이가 있다"며 "게다가 원재료 값이 안정화된 반면 전기세, 가스비, 인건비 등 부자재 가격은 더 치솟았다"고 토로했다.

원·부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이해한다. 가격 인상 역시 필요하다면 할 수 있는 부분이다. 기업을 운영하는 가장 큰 목적은 이윤 추구인 만큼 손해를 감수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격 인상도 소비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에서 진행돼야 한다. 가격 인상을 거듭 단행하면서 매번 '원·부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말만 변명으로 내세워서는 안 된다. 자구 노력 없이 가격 인상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쉽사리 부담을 전가한 것은 아닌지도 고민해봐야 할 지점이다.

지속된 가격 인상에 소비자들의 곡소리는 커져만 가고 있다. 성난 소비자들의 마음을 달래기 위해서는 기업이 진정어린 소통과 유대감 형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제는 막가파식 가격 인상을 멈출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