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걱대는 '둔촌주공‧우동3구역', 대형정비사업 이상기후 왜
상태바
삐걱대는 '둔촌주공‧우동3구역', 대형정비사업 이상기후 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둔촌주공이 표류 위기에 빠졌다.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최근 도시정비시장에서 재개발‧재건축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는 분위기임에도 불구하고 서울과 부산의 대형 사업으로 꼽히던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과 해운대 우동3구역 재개발사업이 암초에 부딪혔다. 대형 건설사 간 정비사업 수주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조합의 눈높이도 높아지면서 시공사 선정 과정 혹은 시공사 선정 후에도 조합과 건설사 간 갈등이 불거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이 전면 중단 사태를 맞았다. 공정률이 50%를 넘은 대단지의 재건축 공사가 중단된 사상 초유의 사태다.

앞서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은 조합 집행부와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간 공사비 갈등이 고조되면서 사업 파행 우려가 나온 바 있다.

이에 서울시가 중재에 나섰음에도 갈등의 골을 메우지 못한 상황으로 치닫는 상황이었다.

일부 언론에서는 시공단이 앞서 예고한 대로 오는 15일 0시를 기점으로 둔촌주공 재건축 공사 현장에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철수시킬 계획이라고 알려졌다.

하지만 시공단 관계자는 "공사 현장에서 전면 철수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공사를 일시 중단했다는 게 옳은 표현"이라며 "즉시 유치권을 행사해 공사장 전체를 전면 출입 통제할 것이라는 게 공식 입장"이라고 해명했다.

현재 공정률이 52%를 넘어선 가운데 공사가 전면 중단되는 것이다 보니 조합과 시공단 양측 모두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시공단 관계자는 "지난 2020년 2월 둔촌주공 재건축 실착공에 들어간 이후 2년 이상 공사비를 못 받아 공사 진행이 사실상 힘든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사업 추진을 위해 보증한 7000억원가량의 사업비 대출조차 조합이 사업 추진을 지연하면서 소진돼 만기가 도래한 대출도 문제라는 게 시공단의 주장이다.

사태가 이같이 극단적으로 치달은 결정적 원인은 지난 2020년 6월 시공단과 전임 조합 집행부가 체결한 5600억원가량의 공사비 증액 계약을 현 집행부가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면서부터다. 

현 집행부는 새로운 계약이 한국부동산원의 감정 결과를 반영한 총회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과 다수의 조합원이 당시 조합장을 해임 발의한 당일에 맺어져 법적·절차적 하자가 많은 계약이라는 점을 들어 무효라고 주장한다.

조합은 오는 16일 총회에서 공사비 증액과 관련한 의결(의결 시점은 2019년 12월 7일)을 취소하는 안건을 처리할 방침이라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동3구역 조감도.
우동3구역 조감도.

도시정비 시장의 이상 기후는 부산의 대표적 재개발 사업지로 꼽히는 해운대구 우동3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유찰에서도 나타난다.

업계에 따르면 우동3구역 재개발 사업은 시공사 선정을 위한 본입찰에서 현장 설명회에 참여했던 대형건설사들이 모두 참여하지 않는 이례적인 상황으로 인해 유찰됐다.

우동3구역 재개발사업은 해운대구 우동 일대 16만727㎡를 지하 3층~지상 39층 규모의 아파트 24개 동 2918가구로 재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앞서 지난달 22일 현장 설명회에 참여했던 현대건설, GS건설, 롯데건설, KCC건설, 동원개발 모두 입찰 제안서를 내지 않은 것은 초유의 사태로 받아들여진다.

기존 시공사였던 대우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이 지난해 시공사 해지 통보를 받으면서 대형 건설사들이 앞다퉈 뛰어들 것으로 예상됐던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이에 조합은 오는 20일경 현장 설명회를 재개최해 내달 재입찰할 계획을 짠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현장설명회에 참여했던 한 건설사 관계자는 "기존 시공사가 제안했던 공사비와 조건도 조합에 상당히 유리한 것"이었다며 "건설사 입장에서 아무리 큰 사업이라 하더라도 현재 조합이 내건 강남 아파트에 준하는 특화설계는 공사비로 충당되기 힘들다는 판단이 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둔촌주공이나 우동3구역의 이같은 이례적인 상황은 코로나 사태 이후 건설사들의 정비사업 의존도가 높아지다 보니 조합의 기대치가 높아진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며 "향후 정부의 성향으로 정비사업이 더욱 활성화되면 이같은 시공사와 조합의 힘겨루기가 심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