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태클' 설 민심도 '살처분'?
상태바
구제역 '백태클' 설 민심도 '살처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민족대이동 최대 확산 고비" 긴장… 돼지고기 '고공' 행진

 


[컨슈머타임스 김한나 기자] 전국을 뒤흔들고 있는 구제역이 대명절 설을 앞둔 민심을 어둡게 하고 있다.

 

정부가 설 귀성행렬을 구제역 확산의 고비로 지목하고 있는 가운데 풍성해야 할 설 차례상마저 구제역으로 인한 고기류 가격 폭등으로 초라해질 전망이다.

 

추가백신 도입과 방역활동 강화 등 정부는 제한적 설맞이 구제역 확산 방지 대책을 내놓는데 그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달래기 위한 추가적 대책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귀성행렬, 구제역에 '발목'(?)

 

정부는 구제역 종식의 성패를 가름하는 중요한 시기로 설 연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설을 맞아 고향으로 가기 위한 국민 대이동이 예상되는 만큼 방역과 소독을 강화한다는 얘기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축산 단체처럼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귀성을 자제해 달라"고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는 않지만 귀성행렬에 따른 구제역 확산을 경계하는 얼굴빛이 역력하다.

 

중앙대책본부장인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26일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한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설 연휴기간 중 이동하는 국민들에게 방역 협조를 당부했다.

 

맹 장관은 "설 연휴 기간은 구제역 확산 차단에 중대한 고비가 될 것"이라며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하고 방문 시에는 차량 내·외부 그리고 사람에 대한 소독을 철저히 해달라"고 강조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정부 중앙청사에서 열린 '2차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설 연휴 기간에 대규모 인구 이동과 해외여행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된다""구제역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국민과 협조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정부는 구제역 조기 종식을 위해 이달 말까지 예방백신 접종 완료, 구제역 발생국 여행 삼가와 귀국 시 검역 당국 신고 등을 내놨다.

 

식탁물가 '직격탄', "돼지고기는 '고기'"

 

구제역 여파는 설을 맞아 풍성해야 할 식탁물가에 까지 찬 물을 끼얹고 있다. 구제역에 따른 도축장 폐쇄 및 이동제한 조치 때문에 수급 불균형이 생겼기 때문. 그러나 살처분 돼지 규모가 상당해 돼지고기 가격의 고공비행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 25일 농림수산식품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현재(25일 기준) 구제역으로 돼지 2625553 마리가 살처분 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기준 돼지 사육규모인 988만여 마리의 25%에 육박한 수치다. 4마리 중 한 마리는 살처분 됐다는 얘기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돈육가격은 '금고기'나 마찬가지. 돼지고기 가격은 지난 24일 전국 평균으로 ㎏당 6855원으로 구제역 발병이 알려진 지난해 1129 3703원에 비해 60% 이상 급증했다. 서울의 경우 같은 시기 3665원에서 7585원으로 80%가량 올랐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돼기고기 가격은 이 보다 더 했다. 실제 이마트는 지난 21일 삼겹살 100g 가격을 1380원에서 1680원으로 20% 이상 올렸다. 롯데마트도 지난해 구제역 발병 이전과 비교했을 때 돼지고기 가격을 부위별로 크게는 66%가량까지 올린 바 있다.

 

한 소비자는 "설을 앞두고 장을 보기 위해 마트에 가서 보니 돼지고기를 살 엄두가 나지 않을 정도로 가격이 올랐더라"라며 "삼겹살 한 덩이를 사려고 해도 저울에 보여지는 가격에 선뜻 살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렇듯 구제역이 설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구제역 대책은 추가 방역활동에 대한 뚜렷한 대책을 찾아볼 수 없어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추가백신 도입과 방역활동 강화만을 유일한 대책으로 내 놓고 있기 때문.

 

민족 대이동...추가 방역 대책 '미흡'

 

피해액이 2조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청정지역에 대한 방어체계는 물론 이동인구가 증가하는 설 연휴의 방역활동 인원에 대한 언급도 없는 실정이다.

 

다만 초동대책에 대한 실수는 일부 인정했다. 유정복 농림식품부 장관은 대국민 담화 자리에서 "지난해 11월 최초 의심신고시 판단이 미흡했다"고 털어놨다.

 

구제역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500m 이내 가축을 살처분하고 10㎞ 반경의 사람·차량을 통제하도록 돼 있지만 차량과 사람 통행기록이 없어 사전 차단에 실패했다는 지적에 대한 인정으로 풀이된다.

 

정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구제역 비상사태에 대한 보상비만 17387억원이 들어갔다. 방역 초소 운영과 소독약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지출한 비용까지 합하면 피해 금액이 3조원을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추산된다.

 

피해 금액이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추가 재원 마련도 급해졌다는 지적이다. 농식품부가 가축전염병을 대비해 확보한 예산은 1030억원인데 이미 동난 지 오래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른 재해 피해 복구에 써야할 예비비 27000억원을 당겨서 사용하고 있다.

 

한 축산업계 관계자는 "이미 초기 대응에 실패해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만큼 확실한 검역과 대책이 필요한데도 여전히 구제역 바이러스 뒤꽁무니만 따라다니는 꼴"이라며 "건강한 소의 씨가 마를 지도 모른다"고 불안감을 드러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