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경제민주화에 '속도'…선택과 집중 전략
상태바
국내 기업 경제민주화에 '속도'…선택과 집중 전략
  • 정수남 기자 perec@naver.com
  • 기사출고 2017년 08월 17일 06시 21분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J·하림 등 계열사 육성해 지주회사 체제 강화…CJ올리브네트웍스·올품 전략적 육성
[컨슈머타임스 정수남 기자] 새정부가 경제민주화 구현을 위해 국내 기업들을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기업들이 여기에 부응하고 있다. 기존 계열사 간 물고 물리는 순환출자 구조를 척결하고,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게열사를 적극 육성하는 등 지주회사 강화에 나선 것.

17일 재계에 따르면 4년여만인 최근 이재현 회장이 경영에 복귀한 CJ그룹이 이 같은 행보에 가장 적극적이다.

CJ는 그룹 내 SI(시스템통합)을 전담하고 있는 CJ올리브네트웍스를 통해 계열사를 수렴해 각 사업부문에 재배치하고 있다.

앞서 CJ올리브네트웍스의 전신인 CJ시스템즈는 CJ올리브영을 합병하면서 영향력을 강화했다.

딩초 CJ시스템즈는 이재현 CJ회장이 31.88% 지분을 보유했지만, 계열사 합병과정에서 자녀에게 지분을 배분하면서 오너 리스크를 완화하는 전략도 구사했다.

이는 지난 4년 간 이 회장의 공백으로 그룹의 모든 투자와 사업이 중단되는 등 오너 중심의 국내  기업 특성을 고려한 경영 전략으로 재계는 풀이했다.

향후 CJ올리브네트웍스가 상장될 경우 이 회장 자녀의 지배력이 강화돼 이 같은 이 회장의 복안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014년 12월 말 현재 CJ올리브네트웍스의 지분은 이 회장이 11.35%, 아들 선호 씨가 11.30%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 DD
▲ CJ가 오너 리스트 완화와 투명 경영을 위한 지주회사 체제 강화에 나섰다. CJ 서울 남산 사옥. 컨슈머타임스 
일각에서는 경영 승계를 위한 행보로 분석하고 있으나, 회사 측은 이보다는 경영권 다양화를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CJ올리브네트웍스의 총수 일가 지분이 44.07%지만, 이 회장과 자녀에게 분산돼 이 회장 유고 시에도 주주 결의로 자녀가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재계는 강조했다.

CJ 측은 "CJ올리브네트웍스는 계열사 합병을 통해 내부거래를 줄였고, 투명 경영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투명 경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국내 경제발전과 일자리창출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지속적으로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견 식자재 유통기업 하림(회장 김홍국)도 계열사 육성을 통해 투명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김홍국 회장은 2012년 장남 준영 씨에게 (주)올품의 지분 100%를 증여했고, 이 과정에서 준영 씨는 증여세 100억원을 성실하게 납부했다.

현재 김 회장 부부는 지주회사인 제일홀딩스 지분 47.36%를 소유하고 있고, 올품 지분 7.46%도 갖고있다. 올품이 100% 지분을 갖고 있는 한국썸뱉은 제일홀딩스 지분 37.14%를 소유하고 있다.

이로써 준영 씨는 44.6%의 제일홀딩스 지분률로 2대 주주다.

▲ DD
▲ 하림의 지배 구조(2017년 5월 말 현재). 하림 제공
이와 과련, 시민단체 등은 "편법 경영승계"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김 회장은 "향후 20∼30년 간 경영 승계는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평소 "자녀에게 경영을 승계할 의도는 없다"면서도 "만일 자녀가 경영에 참여한다면 경영 능력과 의지 등을 검증한 다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지분 배분이 경영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한 전략하는 게 하림 측 분석이다.

현재 제일홀딩스는 주력인 하림홀딩스의 지분 68.09%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림(47.92%)과 선진(50%), 팜스코(56.34%), 제일사료(100%), 팬오션(50.89%) 등 주요 계열사 1대 주주로서의 지위도 확보하고 있다.

하림홀딩스도 엔에스쇼핑(40.71%), 주원산요리(93.38%), 맥시칸(100%) 지분을 갖고있다.

이와 관련, 재계 한 관계자는 "새정부 들어 공정거래위원회가 경제민주화를 위해 국내 재계에 칼을 들이대고 있어, 최근 기업 경영이 상당히 위축됐다"면서도 "일부 기업들은 투명 경영을 위해 지분 구조를 조정하는 등 자체 자정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관계자는 "다만 이 같은 조정이 일각에 편법 경영승계로 비쳐지고 있다"면서 "기업의 경영 승계는 승계자의 경영 능력 등의 검증이 선행돼야 하는 만큼 지켜볼 일 "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웃김 2017-08-17 08:23:04
불법승계 정당화 역행하는 기사 옹호하는 글휴~ 이래서 골라서 봐야함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