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IoT·스마트홈 기술경쟁? 보안대책 병행돼야
상태바
[기자수첩] IoT·스마트홈 기술경쟁? 보안대책 병행돼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서순현 기자] 퇴근길.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으로 빨래를 시작하고 난방온도를 올려 둔다. 냉장고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남은 식재료들을 파악한 뒤 저녁 메뉴를 정한다. 집에 도착하니 주인을 인식하는 센서가 작동해 조명이 켜지며 현관문이 자동으로 열린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영화에서나 봤을 법한 일들이 현실로 다가왔다.

지난 6일 개최된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16'의 화두는 단연 '사물인터넷'(IoT)과 '스마트홈'이었다. 글로벌 IT업체들은 세탁기, 냉장고 등 백색가전부터 자동차, 조명기기, 보안 시스템 심지어는 속옷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스마트'해진 제품들을 소개했다.

해외뿐 아니라 국내도 통신 3사를 중심으로 IoT·스마트홈 서비스가 상용화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스마트홈과 관련한 톡톡 튀는 마케팅을 벌이고 있는 SK텔레콤이 대표적이다.

두 남녀가 스마트홈 기능을 이용해 집안 가전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서로를 골탕먹이는 모습이 주된 내용이다. 샤워를 할 때 물 온도를 차갑게 하거나 도어락으로 현관을 잠가 집에 들어가지 못하게 만드는 식이다.

가벼운 주제지만 보는 각도에 따라 간담이 서늘해진다.

누군가 내 집안을 해킹해 이러한 일을 벌였다고 가정하면 범죄의 중심에 놓이는 반전을 피하기 어렵다.

실제 미국에서는 이혼한 남편이 전 부인 집의 보일러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해킹해 요금 폭탄을 맞게 하려다 덜미가 잡히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만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데 전문가들은 의견을 모으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IoT 해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2020년에 18조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oT 기술이 보급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기기들을 통해 우리 생활의 모든 중요 정보들이 저장되게 된다. 만약 이러한 개인 정보들이 해킹을 통해 범죄에 악용된다면 그로 인한 피해는 지금껏 겪었던 정보 유출 사례들보다 더욱 심각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는다.

지난 3일 미래부가 발표한 '2015년 통신서비스 품질 평가'에 따르면 이통사의 지난해 정보보호 투자비 평균은 6.1%다. 국내 은행, 카드회사의 정보보호 예산인 7%보다 낮은 수치다. 정보보호 인력마저도 대부분 외부업체에 위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기업들은 새 먹거리 창출 차원에서 IoT·스마트홈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 보안 분야에 대한 투자와 기술개발 병행을 소홀히 한다면 향후 예상치 못한 위기를 맞게 될 것이란 분석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정부는 2017년까지 IoT 확산을 위해 13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와 별개로 미래부는 지난 7일 확정한 '제1차 정부 R&D 중장기 투자전략(안)'을 통해 중점투자분야 중 하나로 IoT를 선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작년 IoT 정보보호 산업 육성을 위해 지출한 예산은 107억원 정도에 불과하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강국으로서 향후 글로벌 IoT 기술을 이끌어나가는데 충분히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 정부·기업의 보안분야 기술개발과 투자확대가 더해진다면 글로벌 경쟁력의 초석을 다지게 될 것임은 분명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