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빼내고 털리고…'헌마을 금고' 오명
상태바
새마을금고, 빼내고 털리고…'헌마을 금고' 오명
  • 이화연 기자 hylee@cstimes.com
  • 기사출고 2015년 07월 27일 07시 54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인정보 외부 무단 유출 등 연이은 비리-강도사건 '설상가상'
   
▲ 강도사건이 발생한 새마을금고 잠원지점 외관.

[컨슈머타임스 이화연 기자]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신종백)가 개인정보 무단유출 비리와 연이은 강도 사건에 노출되면서 '헌마을 금고'라는 오명을 뒤집어 쓰고 있다.

내부적으로 재발방지를 위한 각종 대책마련에 고심중인 가운데 유사 사고들이 사실상 '주기적'으로 발생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진들을 겨냥한 '기강해이' 지적도 나오고 있다.

◆ 강도사건 재발…소비자정보∙공금 횡령까지 '골머리'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서울 잠원지점에서 지난 20일 강도사건이 발생됐다. 가스총을 장착한 한 남성이 무단 침입해 여직원을 협박해 현금 2400만원을 털고 도주했다.

1주일간 행방이 묘연했던 용의자는 현상금 1000만원을 내건 경찰에 26일 겨우 검거됐다.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강도사건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새마을금고 경기 의정부지점에서 직원을 흉기로 위협해 1000만원을 강탈하는 사건이 지난해 발생했다. 

이에 앞선 2013년에는 강도사건이 무려 4차례나 발생했다.

한 남성이 경기 성남지점에서 1700만원을 빼앗아 도주한 지 불과 1달 만에 울산지점에서 똑같은 사건이 재발했다. 같은 달 대전지점에서는 직원에게 흉기를 휘두르며 현금을 탈취하려다 실패한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8월에는 대구 동구의 한 지점에서 복면을 한 범인이 직원들을 위협한 뒤 현금 5600여만원을 강취하는 등 범행의 숱한 표적이 돼 왔다. 

근본적인 원인 분석이 배제 된 '땜질식 처방'만 반복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새마을금고 임직원들의 연이은 비리도 이미지에 치명타가 되고 있다.

지난달 부산지점 고위임원 A씨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소비자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빼내 출마자에게 전달했다는 내부고발이 접수돼 검찰이 최근 조사에 착수했다.

A씨는 지난해 3월 회사 전산망에 23차례 접속, 수 백 건의 소비자 정보를 출력해 구의원 출마자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해당 구의원과 전무는 새마을금고에서 함께 일한 동료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일에는 부산 다른 지점 이사장 B씨가 개인 투자에 공금 33억원을 사용하다 덜미를 잡히기도 했다. 거액을 날리는 바람에 그가 이사장으로 있던 지점은 자금사정이 나빠졌고 결국 인근 지점과 통폐합됐다.

서울 모 지점 C 과장은 회계기록을 조작해 수억원을 가로챈 혐의로 구속됐다. 허위계좌를 개설, 온누리상품권 선급금을 빼돌리는 등의 수법으로 2억3000여만원을 가로챘다.

새마을금고 측은 고개를 숙였다.

◆ "재발방지대책 마련 고심…연이은 비리사건 유감"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강도사건에 따른) 소비자와 직원의 피해유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나 다행히 심리적∙물리적 피해를 호소한 사람은 없었다"며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청원경찰은 배치되지 않은 상태였고 보안업체와 계약을 맺고 각 지점에 대한 감시를 강화 하고 있다"며 "사건이 발생했을 때 연락을 취하면 출동하는 시스템"이라고 덧붙였다.

비리 사건에 대해서는 "단위 새마을금고에 대한 감사는 중앙회 직원들이 직접 지점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고발조치를 취한다"며 "중앙회 차원에서 유사사건이 반복되고 있는 데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