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55% "알리·테무보다 비싸도 믿을만한 국내 쇼핑몰 쓴다"
상태바
소비자 55% "알리·테무보다 비싸도 믿을만한 국내 쇼핑몰 쓴다"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5년 05월 16일 15시 33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ISDI "'알테쉬' 국내 제조·유통·물류 업계 위협"

중국계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국내 소비자 절반 이상이 가격이 높더라도 품질이나 신뢰도가 높은 국내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16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중국 유통 플랫폼의 글로벌 확장과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54.8%가 가격이 비싸도 믿을만한 국내 쇼핑몰을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지난 1월 3개월 내 알리, 테무, 쿠팡 등의 이용 경험이 있는 20∼69세 국민 1천2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쇼핑몰 이용에 관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들이 조사 시점 3개월 이내에 써본 적이 있다고 대답한 온라인 쇼핑몰 비율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쿠팡, 11번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중 쿠팡이 85.1%로 가장 높았다.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가 75.5%로 뒤를 이었고,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20∼30%의 구매 경험률을 보이는 데 그쳤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상품을 구매한 응답자의 70%가량이 저렴한 가격을 가장 주요한 선택 이유로 꼽았고, 쿠팡에서 상품을 사는 이유로는 빠른 배송을 꼽은 소비자가 7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국 온라인 쇼핑몰과 국내 온라인 쇼핑몰을 비교했을 때 응답자의 60.9%가 국내 온라인 쇼핑몰 상품의 품질이 중국 온라인 쇼핑몰보다 좋다고 대답했다.

응답자의 67.7%는 품질이 유사한 상품인 경우 중국 온라인 쇼핑몰 상품의 가격이 더 싸다고 했다.

특히 테무 사용자의 절반 이상이 상품의 품질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쿠팡 이용자는 리뷰의 신뢰성 강화가 가장 필요하다고 봤다.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한 상품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불만족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60.7%에 달했다.

이 중 15.5%는 고객 서비스 센터에 문의했지만 해결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러한 단점에도 보고서는 중국 플랫폼의 침투가 국내 물류, 유통, 제조, 플랫폼 생태계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구조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에 대규모 자체 물류망을 구축하는 등 국내 물류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축소될 수 있다고 봤다. 중국 플랫폼이 물류 주도권을 확보하면 국내 인프라가 하도급화되거나 플랫폼 종속 구조로 재편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아울러 중국산 초저가 제품이 소액 면세 기준을 활용해 국내에 대량 유입되면서 국내 중소 유통업체들이 가격 경쟁에서 밀려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나아가 내수 기반 제조업체들의 생존이 위협받으며 장기적으로는 산업 공동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 '알리'·'테무' 불공정 이용약관 공정위에 심사청구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