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유업체-대리점 '불법행위 진위공방' 시끌
상태바
분유업체-대리점 '불법행위 진위공방' 시끌
  • 최미혜 기자 choimh@cstimes.com
  • 기사출고 2013년 02월 08일 08시 39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밀어내기는 일방적 주장" vs "피해 대리점 확대"… 공정위 조사 주목

   
    ▲한 분유업체의 대리점 피해자 연합회 측이 본사의 '밀어내기' 행위 근거로 제시한 제품사진

[컨슈머타임스 최미혜 기자] 한 분유업체가 지역 대리점들을 상대로 상품을 강매하거나 '떡값'을 요구하는 등 불법행위를 했다는 의혹에 휘말려 시끄럽다.

'피해자'임을 자처하고 나선 대리점이 늘고 있고 진위여부를 가를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도 본격화될 전망이어서 주목된다. 

하지만 분유업체는 미수금 탕감 등을 목적으로 한 대리점의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 '밀어내기'·'떡값' 등 요구 불법행위 파문 확산

서울 왕십리·보광·보문 등 3개 대리점을 중심으로 한 피해자 협의회 측은 "본사가 주문하지도 않은 상품을 강제로 떠맡기는 '밀어내기'를 수 차례 해왔다"고 주장했다.

한 관계자는 "대리점의 전산발주가 마감되면 업체 소속 각 지역 영업담당이 발주 데이터를 수정했다"며 "이때 잘 팔리지 않는 제품이나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에 대한 부담을 '밀어내기'로 대리점에 떠넘겼다"고 말했다.

명절을 전후로 '떡값'을 요구하거나 본사가 파견한 사원 임금을 대리점들이 대신 지급하게 한 경우도 있었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명절이 되면 10만~30만원의 돈을 현금으로 받아가는가 하면 임직원 퇴직 위로금을 대리점에서 받아갔다는 것이 골자다.

대리점 피해자 협의회는 지난달 공정위에 분유업체를 고발했다. 지난 6일 현재 본사 앞에서 산발성 시위도 벌이고 있다.

이 관계자는 "처음 대리점 3곳이 문제제기를 했지만 지금 7개 대리점이 참여하고 있고 비공개까지 하면 11곳으로 늘어났다"며 "검찰고발까지 검토해 볼 수 있다는 내용의 공정위 전화도 받았다"고 말했다.

   
    ▲대리점 피해자 연합회 측이 본사의 '밀어내기' 행위 근거로 제시한 제품사진

그는 "불법행위와 관련된 자료들을 취합해서 정리하고 있는데 설 이후 공정위에 들어가서 이를 토대로 그간의 일들을 자세히 설명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규모 항의 집회 가능성도 언급했다.

업체측은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이미 허위사실 유포 등을 이유로 일부 대리점주를 고발한 상태다.

◆ "피해 대리점 확대" vs. "일방적 주장"

분유업체 관계자는 "일부 대리점주를 고발조치 했다"며 "1500개 대리점 중에 3곳만 문제를 제기했는데 미수금이 2000만~5000만원씩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큰 거래처도 주고 해서 조금만 노력하면 절대 손해가 날 수 없는데 운영을 방만하게 해서 미수금이 발생했다"며 "그쪽에서 주장하는 대로 실제 (강매 등) 문제가 있었으면 여기저기서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겠냐"고 말했다.

미수금 탕감을 목적으로 한 일부 대리점주의 억지주장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공정위 관계자는 "신고 사안에 대해서는 서울사무소가 담당을 한다"며 "조사와 관련된 제반사항은 모두 비공개"라며 말을 아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