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백신프로그램 '소비자 주의보'…우수 백신 12종은?
상태바
불량 백신프로그램 '소비자 주의보'…우수 백신 12종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에서 제작판매되는 PC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백신) 10개 중 6개는 불량 제품인 것으로 확인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지난해 국내 PC 백신 프로그램 실태를 조사한 결과 77개 업체가 생산한 백신 202종 중 118종(58%)이 '성능 미달'이라고 15일 밝혔다.

성능미달로 판별된 이 백신들은 3000개의 악성코드 샘플 중 1000개 미만의 파일만 악성코드로 분류했다. 심지어 82종(41%)의 백신의 경우 3000개의 악성코드 중 치료한 파일이 10개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상파일을 악성코드로 잘못 인식하는 오탐(誤探) 제품도 52%인 105종에 달했다. 이 같은 결과는 총 206종을 대상으로 한 2010년 조사에서 확인된 57종(27.7%)보다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소비자가 이런 백신을 사용하면 악성코드 피해를 예방하려다 오히려 정상적인 파일을 잃을 수 있다. 또 치료를 위해 유료 서비스를 이용했다면 금전적인 피해까지 겪게 돼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방통위는 이 같이 성능미달로 판별되거나 오인율이 높고, 동의 절차 없이 설치되는 등 '불량백신' 130종을 생산한 업체 56곳에 조사 결과를 통보하고 개선을 요구했다.

그러나 시중 백신의 악성코드 치료 성능은 대체로 향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3000개의 악성코드 샘플 중 2000개 이상을 탐지해 치료한 백신은 2010년 17.5%(36종)에서 2011년에는 31.2%(63종)로 2배 가량 증가했다.

악성코드가 유입되면 바로 진단하는 실시간 감시기능을 갖춘 백신은 16%에서 26.7%로 상승했다.

이상훈 방통위 네트워크정보보호팀장은 "매년 악성코드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면서 "백신과 소프트웨어를 정상적으로 설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악성코드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방통위가 선정한 우수백신 12종은 다음툴바, 노애드2+, V3 365 클리닉, V3 Lite, 바이러스체이서8.0, 알약 2.0, nProtect AVS 3.0, 바이로봇 Internet Security 2011, 내주치의 닥터, U+인터넷 PC 안심이, 네이버 백신, B인터넷클린 등이다.

컨슈머타임스 신진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