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집단소송, 애플코리아 대응 따라 결과 미지수
상태바
아이폰 집단소송, 애플코리아 대응 따라 결과 미지수
  • 김동완 기자 dwkim@cstimes.com
  • 기사출고 2011년 07월 17일 16시 08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애플코리아를 상대로 아이폰 위치정보 수집에 따른 위자료 100만원을 받아낸 사례가 알려지자 집단소송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뜨겁다.

하지만 법조계 일각에서는 집단소송이 승소를 뜻하는 것이 아닌 만큼 소송 참여에 신중한 자세를 취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법인 미래로 소속 김형석(36) 변호사가 애플코리아로부터 위자료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지급명령에 대해 애플코리아가 무대응으로 일관했기 때문이다. 정식소송을 통해 재판부가 위자료 지급을 판결한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지급명령은 법원이 신청인의 일방적 주장에 따라 돈을 지급하도록 명령하고 상대방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확정이 되는 간이 소송절차다. 이번 위자료 지급의 경우 재판부가 신청인의 주장에 대해 시비를 가려 애플 측의 위법성을 인정해 지급명령을 내린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집단소송에 들어가 애플코리아가 당사자로 참여하게 된다면 위자료 지급명령과는 다른 방향으로 재판이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경남의 한 변호사는 "아이폰 위치추적을 통해 자신의 위치가 파악된 사실 자체만으로 위자료 지급 대상은 될 수 있겠지만 누군가가 자신의 위치를 주도면밀하게 관찰한 정황이 있어야 정신적 피해가 인정될 수 있을 것 같다"고 판단했다.

이 변호사는 또 "재판과정에서 애플이 단순히 기술적 차원에서 위치정보 수집을 했다고 주장할 경우, 이를 뒤집어야 승소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재철 법무법인 미래로 대표변호사는 "금전적 손해가 아닌 정신적 손해는 신청자가 구체적 손해금액을 입증할 필요가 없다"면서 "미국과 달리 국내에서는 사용자 동의 없는 위치정보 수집을 금지하는 '위치정보 보호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있다. 아이폰의 위치정보 수집은 명백히 이를 위반한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애플코리아는 미국기업인 애플의 한국내 판매법인에 불과해 아이폰의 위치추적 문제를 다투는 정식 소송에서 당사자로 적합한 지에 대한 의문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아이폰 위치정보 수집에 대해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귀추가 주목된다.

컨슈머타임스 김동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