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올해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시장 규모' 3조 550억 원 성장 전망
상태바
KISA, 올해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시장 규모' 3조 550억 원 성장 전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1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물류'분야, 위치정보와 가장 많이 융합돼 활용될 것으로 예상
2022년 위치정보 산업 주요 10대 키워드(사진제공=한국인터넷진흥원)
2022년 위치정보 산업 주요 10대 키워드(사진제공=한국인터넷진흥원)

[컨슈머타임스 안우진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원태)과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는 데이터 경제 시대의 핵심자원인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국내 위치정보 산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21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 결과'와 '2022년 위치정보 산업 주요 10대 키워드' 를 17일 발표했다.

KISA는 2021년 6월말 기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고된 1,957개 위치정보사업자 및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를 대상으로 같은 해 7월부터 10월까지 온라인, 전자우편 등을 이용한 설문조사 방법으로 '2021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2021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의 매출액 규모는 2조 6279억 원이었으며 2022년에는 16.3% 성장한 3조 550억 원으로 전망됐다. 부문별 매출액 규모는 '대인·대물 위치추적 및 관제서비스'가 1조 772억 원(40.8%), '생활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4,911억 원(18.7%), '광고마케팅 및 상거래 서비스'가 4115억 원(15.7%) 등의 순이다.

또한 전년 대비 눈에 띄는 산업 트렌드 변화로 사업자들이 서버, 보안장비 등 자체 설비를 직접 구축해 운영하던 것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점, 자체 R&D 수행 비율이 감소하고 정부지원 R&D의 수행 비율이 대폭 증가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향후 위치정보가 가장 활발하게 적용·융합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군은 '물류' 분야로 전망됐다.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 지원이 필요한 과제로 '공공 인프라 및 공공 데이터 민간 개방(41.2%)', '위치정보 관련 R&D 과제 확대(37.2%)', '우수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육성 지원(27.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2021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원문은 KISA 누리집에서 누구나 무료로 내려 받아 이용할 수 있다.

KISA 정원기 이용자보호단장은 "전체 위치정보 사업자의 57.8%가 매출액 10억 미만의 소기업으로 위치정보 산업의 활성화 및 안전한 활용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해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KISA는 매년 본 조사결과를 반영해 스타트업 지원, 맞춤형 컨설팅 등 실효성 있는 사업자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