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메르스 소비위축 완화…일상 돌아가야"
상태바
이주열 "메르스 소비위축 완화…일상 돌아가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열 "메르스 소비위축 완화…일상 돌아가야"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충격으로 인한 소비심리 악화가 수그러드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경제주체들의 일상생활 회복을 당부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국은행 본관에서 경제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해 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한국경제 앞에 놓인 대내외 리스크를 거론하면서 이처럼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경제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을 보면 메르스 사태, 그리스 채무협상,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등 크게 3가지"라며 "이 가운데 가장 큰 리스크는 메르스 사태의 파급효과"라고 언급했다.

최근 들어 메르스 사태에 따른 소비위축이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메르스 사태가 본격화된 지 3주가 경과했다"며 "지난 주말 조사한 3주차의 소비 관련 속보 지표를 보니 전년동기대비로는 여전히 감소했으나 감소폭이 1∼2주차보다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백화점, 대형마트, 여가 관련 산업 매출액과 같은 속보성 지표에서 메르스 충격에 따른 소비위축이 여전한 상황이긴 하지만 개선세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이어 "(메르스로 인한 소비위축이 좀 수그러든 것 아닌가 하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메르스 사태 종식을 위해 정부와 의료진이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며 "경제주체들이 빨리 일상으로 돌아가고 기업심리와 소비심리가 빨리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충격 가능성에 대해서도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지난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끝나고서 나온 표현이 비둘기파적(통화완화 선호)이었다는 해석이 있지만 연내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한 것"이라며 "다만 인상 속도는 점진적이라 예상돼 그나마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3년 금리인상 시사 발언만으로 국제금융시장이 큰 변동성을 보이는 '긴축발작(테이퍼 텐트럼)'이 있었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인상이 점진적이라 하더라도 추이는 잘 지켜보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최상의 결과에 희망을 갖되 최악의 상황에도 준비해야 한다(Hope for the best, prepare for the worst)'라는 영국인들이 즐겨 쓰는 표현을 인용해 "대외 여건을 고려하면 이 말이 우리에게 들어맞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그리스발 채무협상과 관련해서는 "앞서 그리스 사태로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봤고, 협상이 타결될 것이란 기대감도 높아진 것 같다"고 평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