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前대통령국장> 영결식 사상 최대규모
상태바
<김前대통령국장> 영결식 사상 최대규모
  • 운영자
  • 기사출고 2009년 08월 21일 18시 23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3일 오후 2시 국회 앞마당에서 거행되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결식은 각계 대표와 시민 등 2만4천명이 초청된 가운데 사상 최대규모로 진행된다.

행정안전부 이재풍 의정담당관은 21일 브리핑을 통해 "영결식에는 장의위원과 외교사절, 시민 대표 등 정부가 선정한 인사 9천 명과 유가족 측이 추천한 인사 1만5천명 등 총 2만4천명을 초청한다"고 밝혔다.

초청 인사는 국경일 등 일반 경축식 때(평균 7천 명)에 비하면 월등히 많은 규모다.

특히 정부측 초청인사 중 4천300여명은 시민 대표로 구성됐고, 유가족 추천 인사도 일반 시민들로 구성돼 초청인사 2만4천명에는 전국 각 지역 모든 계층의 국민이 포함된 셈이라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그러나 초청인사 이외의 국민은 경호ㆍ경비 문제 등 때문에 영결식에 참석할 수 없다.

이 담당관은 "유가족 측과 일반 국민의 참석을 허용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국장을 엄숙하고 경건한 분위기 속에서 치르고자 초청인사만 참가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초청 인사 가운데 63%가량인 1만5천명이 실제로 참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행안부는 김 전 대통령 측이 고려하는 서울광장 추모행사나 노제는 개최하지 않기로 했다.

이 담당관은 "장의를 국장으로 치르기로 하면서 노제는 개최하지 않기로 했다"며 "유가족 측에서도 공식적으로 추모행사나 노제를 요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장례 절차는 국회 앞마당에서 영결식을 한 뒤 장의 차량이 동교동 사저와 서울광장, 청와대 등을 거쳐 동작동 국립 서울현충원에 도착해 안장식을 하는 순서로 진행될 전망이다.

발인은 빈소가 영결식장에 설치됨에 따라 영결식 직전에 이뤄진다.

정부는 영결식장 안전 확보 등을 위해 영결식 당일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국회 분향소를 통제하되, 그 대신 임시 분향소를 국회 정문 앞 도로 건너편에 설치할 계획이다.

영결식은 국기에 대한 경례, 묵념, 고인에 대한 묵념, 고인 약력보고, 조사 및 추도사 낭독, 종교의식, 영상물 상영, 헌화, 추모공연, 조총 발사 등 순으로 진행된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