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대기업 87%, 원자잿값‧환율 상승에 수익성 악화"
상태바
전경련 "대기업 87%, 원자잿값‧환율 상승에 수익성 악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국내 대기업들은 국제 원자재 가격과 원/달러 환율이 모두 상승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8일까지 매출액 5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의 대기업(10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영향'을 조사한 결과 원자잿값 상승이 경영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87.0%에 달했다.

반면 '영향이 없다'는 답변은 9.0%, '긍정적 영향' 응답은 4.0%에 그쳤다.

전경련 측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경우 대다수 기업(93.1%)의 수익성이 나빠지고 지난해 동기 대비 영업이익 감소폭은 평균 9.5%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이 -11.8%로 가장 컸다. 뒤이어 석유화학·제품(-11.6%), 바이오헬스(-11.0%), 일반기계·선박(-7.0%), 전기전자(-4.8%), 철강(-4.4%) 등의 순이었다.

국제 원자재 가격 고공행진으로 이번 상반기 대기업들의 영업이익은 평균 8.7%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중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고 밝힌 기업은 49.0%다. 아울러 하반기에도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제품 가격을 인상하겠다는 기업은 63.0%였다. 제품 인상 계획이 없는 기업은 37.0%에 이르렀다.

제품가격 인상 계획이 있는 기업들의 평균 가격 인상 폭은 제조원가 부담의 9.6% 수준이 될 것으로 조사됐다.

하반기 중 제조원가 부담의 제품가격 반영 예상 비율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석유화학·석유제품 13.6% △일반기계·선박 11.7% △전기·전자 8.1% △바이오헬스 7.5% △자동차·부품 7.2% △철강 6.9% 순이었다.

전경련 측은 기업들이 국제 원자재 가격 고공행진, 환율 급등, 임금 인상에 따른 채산성 압박에 시달리면서 원가 부담의 일정 부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 고공행진 지속 기간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절반가량인 49.0%가 내년(상반기 25.0%·하반기 24%)까지로 전망했다. '올해 연말', '기약할 수 없음'이라고 답한 기업도 각각 23.0%나 돼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대응책으로는 '원자재 수입 관세 인하'가 42.3%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해외자원개발 지원 등 안정적 원자재 수급처 확보'(36.3%), '정부의 원자재 비축물량 방출'(11.3%), '폐자원 재활용 지원'(5.3%), '원자재 사용 감축 공정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4.0%) 순이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국제 원자재 가격 고공행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감소하고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며 "주요 원자재에 대한 관세 인하, 법인세 감세 등으로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해외자원개발 등 원자재 수급 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