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5개 조선·해운사 추가 충당금 최대 8조" - 하나투자
상태바
"은행권, 5개 조선·해운사 추가 충당금 최대 8조" - 하나투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국내 은행들이 대우조선해양·한진중공업 등 5개 조선·해운사에 빌려준 자금을 부실대출로 분류하면 추가 충당금 규모가 최대 8조원에 육박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나금융투자 이미선 연구원은 "특수은행과 시중은행은 5개 부실기업 여신에 대해 작년 말 기준 대부분 '정상'으로 분류했다"며 "이들 대출을 현실에 맞게 '고정 이하'나 '회수의문'으로 분류하면 은행의 추가 충당금 규모는 3조 내지 7조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들어 △한진중공업, 현대상선, 한진해운 등 3개사는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을 △창명해운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각각 신청했다.

5개 부실사의 제1금융권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특수은행 23조원과 시중은행 3조2000억원 등 모두 26조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특수은행은 자기자본의 28%, 시중은행은 3% 수준이다.

이 연구원은 "앞으로 기업 구조조정 강도가 더해질수록 정상 여신이 요주의 또는 고정 이하로 재 분류될 가능성이 크다"며 "조선·해운 업종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해당 기업 대출의 부실화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5개사에 나머지 조선과 해운업종 여신까지 합치면 특수은행이 추가 적립해야 하는 충당금 규모는 3조9000억 내지 9조원으로 늘어난다"며 "시중은행은 2조 내지 2조5000억원에 달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구조조정이 진행될수록 국책은행이 부담해야 하는 부실채권 부담이 커질 것"이라며 "원활한 구조조정 진행을 위해 취약업종 대출을 대부분 보유한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에 대한 자본확충이 필수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특히 수출입은행은 5개 기업 여신을 '고정 이하'로 재 분류하면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이 최소 수준(9.25%)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돼 정부 지원을 통한 자본확충이 조속히 이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나금융투자는 구조조정에 따른 기업실적 악화, 고용과 소비 둔화로 한국은행이 경기지원을 위해 올 7월에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