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원 경총회장 "연공급형 임금 체계 대신 직무·성과급 도입해야"
상태바
박병원 경총회장 "연공급형 임금 체계 대신 직무·성과급 도입해야"
  • 김동완 기자 dwkim@cstimes.com
  • 기사출고 2016년 02월 18일 14시 46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병원 경총회장 "연공급형 임금 체계 대신 직무·성과급 도입해야"

[컨슈머타임스 김동완 기자]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18일 "임금피크제 도입을 임금체계 개편으로 간주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60세 정년 연장을 법대로 했으면 임금체계 개편도 법대로 해야 한다"며 임금을 나이로 산정하는 '연공급형' 임금 체계 폐지를 주장했다.

임금피크제는 청년고용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과도기적 임시방편일 뿐이라는 부연이다. 

박회장은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39회 전국 최고경영자 연찬회 개회사에서 "우리나라 300인 이상 기업의 79.7%가 능력·성과와 무관하게 나이에 따라 임금이 상승하는 연공급형 임금체계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공정하지 못한 제도"라며 직무급·성과급 도입을 거듭 촉구했다.

그는 "직무가치와 성과가 반영된 임금체계가 정착된 국가들은 정년 제도 자체가 없고 임금을 생산성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해고의 필요성도 최소화된다"고 말했다.

경총은 임금체계 개편을 단계적, 점진적으로 실천해나가기 위한 방안을 기업에 제시하겠다는 입장이다.

박 회장은 아울러 장시간 근로를 축소해야 그만큼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며 높은 연장근로 할증률이나 휴일근무 중복할증, 연차휴가의 금전적 보상 등을 손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근로자들이 연장근로를 소득증대의 수단으로 생각해 오히려 연장근로를 최대한 많이 하고 싶어 하고 연차휴가도 사용률이 57.8%에 불과할 정도로 여가보다 수당을 선호한다"며 "과도한 연장근로가 일자리를 원하는 젊은이들로부터 취업 기회를 빼앗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말했다. 

경총은 할증률을 선진국 수준인 25%로 개선하며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하게 하고 미사용에 대해선 금전보상을 금지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박 회장은 "노동개혁은 미취업 청년을 포함한 근로자 모두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며 "쉬운 해고나 임금삭감을 수반하는 노동개혁은 현 시점에서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으니 경영자 부담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전제하고 근로자들 간에 일자리와 임금 배분이 더 공정히 이뤄질 길을 찾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경총이 노동개혁 수혜자들과 직접 대화하며 지지를 이끌어내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