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순수 전기차 100만대 시대 열린다
[컨슈머타임스 김동완 기자] 2030년이면 순수 전기차의 국내판매 100만대 시대가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신산업 토론회'를 개최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장기 정책 방향인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 전략'을 23일 밝혔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등을 이용해 누구나 전기를 생산, 판매할 수 있는 내용의 에너지 프로슈머 등 4가지 트렌드가 미래 에너지 사회를 이끌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 대응과제를 마련했다.
그 외 트렌드는 분산형 청정에너지, 전기자동차 같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온실가스 감축 등이다.
2030년까지 순수 전기차를 100만대 이상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순수 전기차는 내연기관 없이 배터리와 모터로만 움직이는 차를 뜻한다.
정부는 전기차 도입에 적극적인 제주도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도내 37만여대의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할 예정이다. 2020년까지 1회 충전거리를 기존대비 2.5배 늘리고, 전국 각지에 충전소를 확대하는 등 충전 관련 인프라 확충에도 힘쓸 계획이다.
시내버스 3만3000여대도 2030년까지 차례로 전기차로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 프로슈머 사업을 우리나라 전역에 확산키로 했다. 10개 이상의 대학과 100개소 이상의 산업단지로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을 확대한다. 마이크로그리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지능형 전력망 등으로 자체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독립형 전력시스템을 말한다.
화석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한 제로에너지 빌딩을 공공주택에 시범 적용한다. 2025년부터는 신축 건물의 경우 제로에너지 빌딩을 의무화한다. 국내 전력시스템에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적용을 확대, 2030년까지 10GWh(약 5조원) 규모로 늘려간다.
시장환경변화에 맞춰 전기사업법 등 기존 법제도를 개정하고 계절·시간대별 차등 요금제도를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에너지신산업 확산을 위해 정부는 내년도 관련 예산안을 1조2890억원(정부안)으로 편성했다. 정부 집계를 보면 기업에서도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 앞으로 5년간 19조원을 투자한다.
오는 2030년에는 관련 시장규모가 100조원대로 커질 것으로 정부 측은 추산하고 있다. 에너지 프로슈머 분야에서 73조원 규모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저탄소 발전과 순수 전기차 시장규모는 각각 10조2000억원, 17조9000억원 등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온실가스는 에너지 프로슈머 분야에서 2160만t이 줄어드는 것을 비롯해 저탄소 발전에서 1870만t, 순수전기차 120만t, 친환경 공정 신산업에서 1470만t이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