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연체증가 등 잠재 부실압력 증가"
상태바
"국내기업 연체증가 등 잠재 부실압력 증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기업 연체증가 등 잠재 부실압력 증가"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기업금융시장의 중·단기 위험징후는 크지 않지만 대기업의 연체 증가 등 잠재적인 부실압력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산업은행은 기업금융 조기경보 모형으로 분석한 올해 3분기의 '기업금융 조기경보 리포트'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기업금융 조기경보는 산업은행이 금융위기와 기업금융의 부실화 가능성을 예측해 정책결정과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올해 초 개발한 모형이다. 매 분기 발표된다.

주가와 주택가격, 민간신용 등의 지표를 토대로 분석한 장기금융지수로 금융위기를 예측한다. 실질 총기업대출 증가율을 토대로 한 중기금융지수로 기업금융의 과열 여부를 진단한다.

경기선행지수와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양도성예금증서(CD)·회사채 금리 등 6가지 변수를 토대로 단기금융지수를 산출해 1년 이내 기업금융의 부실화 가능성을 모니터링한다.

기업금융의 과열여부를 판단하는 중기금융지수는 올해 1분기 7.01%까지 상승했다가 2분기 5.83%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금융지수가 경계값 7.6%를 초과하면 기업대출 시장이 과열됐을 가능성이 있고, 3분기 이후 은행권의 부실채권(NPL) 증가율을 높아질 수 있다는 뜻이다.

기업금융의 부실화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기금융지수도 -0.57포인트로 1차 임계치인 0.95포인트를 밑돌며 감소세를 나타냈다. 1차 임계치를 초과하면 앞으로 기업대출의 부실화가 증가할 수 있어 산업은행이 주의경보를 낸다.

장기금융지수는 2분기 1.63포인트로, 지난해 3분기 1.57에서 출발한 팽창 국면이 유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이 금융지수를 분석한 결과, 기업금융시장의 위험징후는 아직 크지 않다는 게 산업은행 측 설명이다.

대기업의 연체율이 오르는 등 잠재적 부실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산은 측은 한국은행이 조사한 대기업 신용위험지수가 올해 2분기 9포인트에서 3분기 16포인트로 증가한 점을 그 근거로 들었다. 대기업 연체율 역시 올해 6월 0.68%에서 8월 1.04%로 증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