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황교안 1억4000만원 기부금 與 "약속실천" 野 "면피용"
[컨슈머타임스 박정수 기자]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본격적인 검증 절차가 시작된 가운데 여야는 27일 황 후보자의 2013~2014년 기부금 1억4000만원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황 후보자가 2013년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시절 고액 수임료를 기부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켰는지를 놓고 야당은 '면피용' 아니냐며 철저한 검증을 예고한 반면 여당은 '실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번에 국회에 제출된 자료에는 연도별 기부 총액만 기재돼 있을 뿐 영수증이나 명세서가 첨부돼 있지 않아 상세 내역을 알 수 없는 상태다.
새정치연합은 기부 약속 이행 여부에 대한 검증을 계기로 고액 수임료와 전관예우 의혹에 대한 공세도 재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황 후보자에 대한 다른 의혹들도 본격적으로 검증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새정치연합 전병헌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임명동의안이 제출되자마자 증여세 지각납부 등 논란이 일고 있다"며 철저 검증을 시사했다.
앞서 일부 언론에서는 황 후보자가 지명되기 불과 3일 전인 지난 18일 딸이 증여세 450만원을 납부한 데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이는 황 후보자로부터 1억2000만원을 빌린 지 2달이 지난 시점이고 총리 후보자 지명 발표 직전으로, 황 후보자측이 총리 내정을 알게 되자 '부랴부랴' 세금을 납부했다는 주장이다.
또 새정치연합은 황 후보자가 피부병인 담마진으로 병역을 면제받은 과정이 충분히 해명되지 않았다고 보고 병역기피 의혹을 집중 제기할 방침이다. 국회 국방위 소속인 김광진 의원이 이 문제에 대해선 집중 파헤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은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알려진 황 후보자의 과거 종교 편향적 발언 등을 문제삼아 총리로서 국민통합이 가능할지 면밀히 따질 계획이다.
아울러 황 후보자가 법무부 장관으로 재임하면서 국정원 댓글의혹 사건, 서울시 공무원 간첩 증거조작 의혹 사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사건 등에 대해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지 않았다며 총리로 적격하지 않다는 공세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