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우리은행 등 내년 가계대출 목표치 낮춘다
상태바
국민·우리은행 등 내년 가계대출 목표치 낮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우리은행 등 내년 가계대출 목표치 낮춘다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은행들마다 내년 가계대출 목표치를 올해보다 대폭 하향조정하고 리스크 관리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가계대출이 6.9% 늘었던 농협은행은 내년 가계대출 증가율을 올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3.3%로 책정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율이 무려 11%에 달했다. 올해 가계대출 팽창을 이끌었다. 하지만 내년에는 부동산시장의 침체, 국내경기의 전반적 하강 등의 영향으로 이런 급증세가 이어지기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농협 관계자는 "올해는 부동산 규제완화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일시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에는 이러한 수요가 지속되기 어렵다"며 "비정상적 수요가 최근 크게 늘고 있는 만큼 이에 주의해 대출 증가율을 낮추려 한다"고 말했다.

비정상적 수요는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후 이를 생활비, 사업자금 등의 용도로 쓰는 것을 말한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최근 이러한 수요가 급증해 주택담보대출 전반의 위험을 키우고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국민은행은 올해 1~11월 9.3%에 달했던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이 내년에는 5%대 후반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기관 등에서 3%대 중반으로 바라보는 내년 성장률이 당초 예상에 못 미칠 정도로 경기가 나빠질 경우 대출 증가율을 추가로 하향 조정할 예정이다.

KB금융그룹 관계자는 "내년 대출 증가율 목표치도 다소 낙관적으로 정한 측면이 있다"며 "경기하강 위험이 커질 경우 목표치를 낮추는 등 내년 경영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은 12.5%에 달했다. 시중은행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증가율 목표치를 올해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5.7~5.9%로 내렸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내년에는 가계대출 시장 자체의 수요가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어 보인다"며 "신규 아파트 분양 물량 정도를 제외하고는 가계대출이 늘어날 요인을 찾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의 대출규제가 완화된 데다 전세가격의 이상 급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이러한 수요가 이어지기는 힘들다는 판단이다.

가계대출 증가율이 8%에 달하는 신한은행은 내년 증가율 목표치를 우리은행보다 낮은 5%대 초반으로 책정했다. 기업은행은 이보다 낮은 5%, 하나은행은 4.7%까지 낮췄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의 급증이 은행 건전성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이미 가계대출 관리에 나섰다"며 "다중채무자, 아파트 집단대출, 지나치게 낮은 대출금리 요구자 등을 주된 '블랙 리스트'로 삼아 대출을 억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금융연구원의 임진 연구위원은 "규제완화로 인한 주택대출 특수가 내년에는 사라지는데다 경기회복 속도도 충분치 않아 은행들이 보수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할 가능성이 크다"며 "근본적으로는 가계 소득이 늘지 않아 대출 기반이 허약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