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만원 명품 핸드백인데…가죽 AS도 안돼"

정 모(49·대구 수성구)씨는 2년 전 생일에 남편과 두 딸로부터 450만 상당의 유명 해외 브랜드의 명품 핸드백을 선물받았다. 하지만 2년 넘게 사용하자 핸드백 가죽 곳곳에 주름과 스크레치(긁힌 자국)가 생겼다. 특히 가방 테두리의 검은색 끈도 벗겨져 군데군데 하얀 실밥까지 드러났다. 구입 매장에 사후 서비스(AS)를 의뢰했지만 "가죽은 AS가 안 된다"는 답변만 들었다. 유상 수리조차 불가능하다는 설명에 정 씨는 "수 백만원이 넘는 제품인데 AS 자체가 불가능하다니 이해가 안된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처럼 고가 명품 가방류의 AS 보증 기간과 AS 가능 범위 등이 브랜드별로 천차만별이라 고객과의 마찰이 끊이지 않고 있다. 9일 소비자문제 연구소 컨슈머리서치에 따르면 프라다·구찌·루이뷔통·샤넬·펜디·에르메스 등 6개 대표적 명품 브랜드의 가방 AS 정책을 조사한 결과, 프라다와 에르메스의 경우 가죽 AS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했다. (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