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대형마트의 매출 실적이 전달보다 악화됐다. 지식경제부는 주요 유통업체의 매출을 조사한 결과 5월 대형마트의 매출은 일요일 의무휴업제 본격화와 신선식품 가격상승에 영향을 받아 작년동월에 비해 5.7% 줄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4월 매출 마이너스 2.4%보다 감소폭이 커진 것이다. 대형마트의 매출을 주요 상품별로 보면 스포츠(1.3%)를 제외한 가전문화(- 11.3%)와 의류(- 6.3%) , 식품(- 6.5%), 가정생활(- 3.8%), 잡화(- 3.6) 등 대부분이 부진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일요일 의무휴업제의 적용을 받는 대형마트가 4월보다 증가한 것도 매출 감소폭 확대에 영향을 준 것"이라며 "축산품 판매가 줄었고 신선식품 가격이 강세를 보인 점도 매출 부진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연합)


지난달 대형마트의 매출 실적이 전달보다 악화됐다. 지식경제부는 주요 유통업체의 매출을 조사한 결과 5월 대형마트의 매출은 일요일 의무휴업제 본격화와 신선식품 가격상승에 영향을 받아 작년동월에 비해 5.7% 줄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4월 매출 마이너스 2.4%보다 감소폭이 커진 것이다. 대형마트의 매출을 주요 상품별로 보면 스포츠(1.3%)를 제외한 가전문화(- 11.3%)와 의류(- 6.3%) , 식품(- 6.5%), 가정생활(- 3.8%), 잡화(- 3.6) 등 대부분이 부진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일요일 의무휴업제의 적용을 받는 대형마트가 4월보다 증가한 것도 매출 감소폭 확대에 영향을 준 것"이라며 "축산품 판매가 줄었고 신선식품 가격이 강세를 보인 점도 매출 부진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