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쉐 "LFP 배터리, 엔트리 모델에 도입 고민해 볼 수도"
컨슈머타임스=강나연 기자 | 독일 스포츠카 브랜드 포르쉐가 엔트리 모델에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적용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베냐민 파센베르크 포르쉐 배터리시스템 셀&컨트롤 디렉터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독일 바이자흐 포르쉐 R&D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전기차 워크숍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LFP 배터리의 발전은 매우 매력적"이라고 밝혔다.
파센베르크 디렉터는 "기존에 포르쉐가 LFP를 채택하지 않았던 것은 크기와 무게 때문이었는데 (최근 LFP 배터리는) 충전 속도가 빠르고 크기도 개선돼 기본적으로 포르쉐의 방향과도 부합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으로서는 엔트리 모델 정도에 고민해 볼 수 있는 하나의 옵션이지 않을까 싶다"며 "아직은 고출력 퍼포먼스에 적합하지 않고 출력이 개선되면 그때 (고출력 모델에도) 고민해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포르쉐 전 라인업에 LFP 배터리를 탑재하기에는 이르지만 엔트리 모델을 중심으로 점진적 도입을 시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포르쉐는 첫 전기 스포츠카 타이칸에 LG에너지솔루션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마칸 일렉트릭에는 중국 CATL의 NCM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LFP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은 대신 저렴하고 안정성이 높은 배터리로, CATL을 비롯한 중국 제조사들이 시장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다.
파센베르크 디렉터는 CATL이 최근 공개한 나트륨이온 배터리에 대해 "아직 에너지 밀도가 포르쉐 차량과 맞지 않아 나트륨 배터리를 고민하는 단계는 아니다"라며 "저가라는 장점이 있어 앞으로 활용될 범위는 있겠으나 아직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와 관련해서는 "우리도 깊이 있게 보고 있고 파트너사와 함께 연구하고 있다"면서 "현재 개발단계로 봤을 때 추후 충전 속도와 출력이 개선되면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워크숍에 배석한 다른 포르쉐 관계자도 "(전고체 배터리는) 스포츠카 용도로 장점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에너지 밀도나 수명 측면에서도 좋을 것 같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