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10곳 중 6곳 부채비율 100% 넘어…효성화학 완전자본잠식
컨슈머타임스=김지훈 기자 | 지난해 국내 500대 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의 부채비율이 100%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효성화학은 조사 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완전자본잠식' 상태였다.
3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2024년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353곳(금융업 제외)을 대상으로 부채비율을 조사한 결과, 완전자본잠식을 포함해 부채비율이 100%를 넘는 기업은 221곳(62.6%)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볼 수 있는 지표인 부채비율은 기업의 부채 총액을 자본 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부채가 자본보다 많으면 부채 비율이 높아지나 증자 등으로 자본이 증가하면 부채비율이 낮아지기도 한다. 100% 이하면 안정적인 부채비율이다.
조사 대상 기업 가운데 완전자본잠식 기업은 효성화학이 유일했다. 효성화학은 업황 부진에 따른 적자로 재무 안정화를 위한 사업 부문 매각을 추진했지만 여전히 재무 개선이 요원하다. 작년 기준 자본 총액은 -680억원으로 공시됐다.
부채비율이 1000%를 웃돈 곳은 자본잠식인 효성화학을 비롯해 한성자동차(2319.6%), 티웨이항공(1798.9%), 삼성전자서비스(1520.3%), 아시아나항공(1240.8%) 등 총 5곳(1.4%)이다.
이중 한성자동차는 부채비율이 전년(930.3%)보다 1389.3%포인트 폭증하며 1년 새 가장 많이 불었다. 이어 티웨이항공(181.9%포인트↑), 삼성전자서비스(453.6%포인트↑), 금호건설(328.6%포인트↑), 팜스코(242.4%포인트↑), E1(169.5%포인트↑) 등의 순으로 부채비율이 전년 대비 많이 늘었다.
유통기업 컬리는 부채비율이 전년 대비 9641.7%포인트 줄어들어 조사 대상 중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하지만 지난해 부채비율은 733.6%를 기록하며 여전히 높았다. 이는 재무 안정화보다는 지속적인 증자로 자본이 늘면서 부채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신세계건설(742.7%포인트↓), CJ CGV(529.7%포인트↓), 이마트24(366.5%포인트↓), 아시아나항공(265.5%포인트↓) 등의 순으로 전년 대비 부채비율이 줄었다.
2023년 자본잠식 상태였던 태영건설은 작년 720.2%의 부채비율을 보이며 자본잠식을 해소했다.
업종별로는 상사의 부채비율이 전년보다 24.0%포인트 감소한 136.0%를 기록해 가장 크게 줄었다. 대표적인 기업은 SK네트웍스(322.6%→151.2%)다.
공기업의 부채비율은 23.1%포인트 감소한 294.3%을 나타냈다. 감소율은 두 번째로 컸지만 부채비율은 전체 업종 중 가장 높았다. 한국가스공사는 전년(482.7%) 대비 50.0%포인트 하락한 432.7%를 기록했다.
유통업(15.6%포인트↓), 서비스(2.5%포인트↓), 제약(1.0%포인트↓) 등은 전년보다 부채비율이 줄었다.
반면 조선·기계·설비(15.5%포인트↑), 지주(12.2%포인트↑), 운송(10.5%포인트↑), 철강(10.0%포인트↑), 석유화학(5.7%포인트↑) 등은 전년 대비 부채비율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