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금융사고 피해액 8500억 육박…작년 역대 최대치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최근 6년간 국내 금융업권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피해 규모가 85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금융권에서는 우리은행이, 2금융권에선 증권사 중 신한투자증권이 최대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손보사는 하나손해보험, 생보사는 흥국생명이 사고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아 지난 28일 공개한 '국내 금융업권 금융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달까지 발생한 금융사고는 468건, 8423억원에 달했다.
기간 별로 나열해보면 금융사고는 2019년 424억원(60건), 2020년 282억원(74건), 2021년 728억원(60건), 2022년 1488억원(60건), 2023년 1423억원(62건), 2024년 3596억원(112건 )으로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올 들어서는 지난 14일 104일만에 40건, 482억원에 이르는 금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사고 종류별로는 업무상 배임이 2524억9400만원(5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횡령·유용 1910억원(203건) △사기 1626억원(161건) △도난·피탈 14억원(15건) 순이다.
업권별로는 은행이 4595억원 (54.6%·269건)으로 가장 많았고 △증권 2506억원(29.8%·49건) △저축은행 571억원(6.8%·48건) △손해보험 473억원(5.6%·44건) △카드 230억원 (2.7%·18건) △생명보험 49억원(0.6%·40건) 등으로 뒤를 이었다.
은행권에서 금액 기준으로 우리은행 금융사고 규모가 1158억원(25.2%·3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민은행 913억원(39건), 경남은행 602억원(6건) 순이었다.
증권사 중에는 신한투자증권이 1498억원(6건)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하나증권 230억원(7건), 아이엠증권 205억원(4건) 순이었다. 증권업권 금융사고는 사기가 287억원(13건)으로 가장 많았다 .
저축은행 중에는 예가람저축은행이 88억원(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케이비저축은행 78억원(2 건), 푸른상호저축은행 70억원(3건) 순이었다. 저축은행 금융사고는 사기가 233억원(33건)으로 가장 많았다.
손해보험사는 하나손해보험 252억원(4건), 서울보증보험 117억원 (4건), 엠지손해보험 31억원(2건) 순으로 규모가 컸다. 생명보험사는 흥국생명 15억원 (1건), 삼성생명 7억원(3건), 동양생명 6억원(4건) 등이었다.
카드사는 롯데카드가 118억원(3건) , 우리카드 48억5500만원 (3건), 신한카드 32억원 (4건)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