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美 자동차 산업 중심서 '우리 부품기업 수출활로' 모색

29~30일 미시간州서 '한-미 미래 모빌리티 파트너링' 개최 수출상담·세미나·미국 유력 공급망 협력까지 연계 지원 강화

2025-04-29     안우진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KOTRA(사장 강경성)는 이달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간 미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인 미시간에서 '2025 한-미 미래 모빌리티 파트너링'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1:1 수출상담회(29일) △북미 모빌리티 공급망 세미나(29일) △한국 협력사의 날(Korean Suppliers Day, 30일)로 구성된다.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통상환경 변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KOTRA는 우리 부품기업이 북미 시장 진출 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29일 개최되는 1:1 수출상담회는 현지 바이어의 수요에 맞춘 국내 공급기업을 사전 매칭해 실질적인 상담 성과에 중점을 뒀다. 미국 주요 완성차 기업과 티어 1 바이어 등 30여 개사가 참석해 우리 기업과 총 170건의 1:1 상담을 진행한다.

같은 날 개최되는 '북미 모빌리티 공급망 세미나'에는 전·현직 OEM 종사자와 전미자동차부품사협회(MEMA)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한다. 이들은 △북미 3사의 전기차 전략 및 향후 전망 △OEM 공급망 재편 동향과 한국기업의 대응 방안 △미국 자동차 관세 현황과 공급망 전략 등을 주제로 국내 업계 관계자 70여 명에게 현장 인사이트를 전달한다.

30일에는 북미 구동계 분야를 대표하는 티어 1 기업 본사에서 '한국 협력사의 날'이 열린다. 국내기업 20개사가 참여하는 동 행사는 구매정책 설명회와 구매 담당자와의 미팅으로 구성되며 전날의 상담 열기를 이어갈 예정이다.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은 우리나라의 대표 수출 품목으로 2024년 한 해 동안 미국으로 각각 347.4억 달러, 82.2억 달러를 수출해 전체 대미 수출의 약 34%를 차지했다. 최근 미국 내 자국 산업 중심의 통상정책이 강화되며 국내 부품기업의 수출 전략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금하 KOTRA 북미지역본부장은 "대미 시장 접근 여건이 까다로워지는 가운데, 이번 행사가 국내 기업에게 수출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길 바란다"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우리 기업이 북미 시장 활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