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대선 이후 오를 전망…1400원→1550원
경기도의회 심의 통과…시스템 개발 거쳐 대선 후 요금인상 전망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오는 6월 중 1400원에서 1550원으로 오를 전망이다.
정확한 인상 날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6월 3일 대선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
경기도의회는 지난 15일 임시회를 열고 철도 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을 의결했다.
조만간 경기도 소비자정책위원회만 거치면 요금을 올리는 데 필요한 행정 절차가 모두 마무리된다. 경기도 역시 요금 인상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어 소비자정책위는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는 요금 시스템을 운영하는 티머니가 약 두 달간 바뀐 요금을 적용하는 시스템 개발을 진행한다.
가장 많은 노선을 보유해 결정권을 쥔 서울시는 행정 절차를 완료하는 대로 시스템 준비에 속도를 내 6월 중으로 요금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달 말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한국철도공사) 간 정책협의를 열고 정확한 인상 날짜를 확정할 방침이다.
아직 구체적인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공공요금 인상의 사회적 파급력과 시스템 준비 기간을 고려하면 대선 이후 6월 말이 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023년 10월 7일부터 지하철 기본요금을 1250원에서 1400원으로 150원 인상하면서 2024년에 150원을 추가 인상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하지만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보조를 맞추느라 실제 인상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서울교통공사는 누적 적자가 19조원에 육박하기 때문에 경영난 해소를 위해서는 지하철 요금인상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서울교통공사의 작년 말 기준 당기순손실은 전년보다 40% 증가한 7241억원, 누적 적자는 18조9000억원에 달한다. 부채는 7조3474억원으로, 하루 이자만 3억원 넘게 내는 실정이다. 전기료 등 운영 비용은 가파르게 오르는 동안 지하철 요금은 제자리였던 탓이다.
다만 보다 근본적인 적자 개선을 위해선 요금 인상과 함께 무임 수송 손실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의 주장이다.
서울교통공사 측은 지난달 열린 관련 토론회에서 "작년 기준 무임승차 인원은 전체의 약 17%인 하루 751만명이고 이로 인한 손실액은 한해 4000억원 수준"이라며 "재원 대책이 없는 무임손실 증가는 구조적 적자를 야기시켜 안전투자 기회를 놓치는 등의 문제로 이어진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