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스톱' 분양시장, 2분기도 개점휴업 전망

2025-04-15     김동현 기자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탄핵 정국 장기화로 1분기 분양률이 16%에 그쳤다. 사실상 분양시장이 멈춰서면서 공급 가뭄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확산되고 있다.

건설사들이 정권 교체 이후 분양일정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2분기 분양시장 역시 '개점휴업' 상태가 될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이다.

15일 부동산R114가 지난해 말 수도권 분양예정 물량(미정 제외)을 집계한 자료를 보면 1분기 기준 서울이 2731가구, 경기 6783가구, 인천 2105가구 등이다.

그러나 정작 건설시들이 이 같은 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공급 가뭄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1분기 서울에서는 '래미안 원페를라(482가구)', 인천은 '용현 우방 아이유쉘 센트럴마린(196가구)' 단 한 곳을 분양하는데 그쳤다. 경기도 역시 1179가구 공급에 머물렀다.

1분기 수도권 분양 실적률은 16%에 그쳐 공급 가뭄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분양 시계가 사실상 멈춰선 가운데, 이러한 상황이 2분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최근 6월 조기 대선이 확정되며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정권 교체 이후 이행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어서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뒤로 미루려는 이유는 불확실성이 확실히 해소되지 못한 상황이라는 판단에서다.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로 미분양 물량이 쌓여있는 점도 위험요소다. 시장의 회복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 섣불리 분양에 나설 경우 미분양에 대한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서다.

게다가 7월부터 스트레스 DSR 등 대출규제도 예고되면서 건설사들의 눈치보기도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6월 대선 결과에 따라 부동산 관련 정책의 기조가 달라질 수 있는 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만약 부동산 정책 기조가 규제 완화로 선회할 경우 건설사들이 밀린 물량을 대거 소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최근 건설사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이 결정된 이후 분양 일정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부동산인포는 4~5월 10대 건설사들이 2만여 가구를 공급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결국 대선에 모든 관심이 쏟아지는 만큼, 일정 연기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4~5월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내놨지만, 통상 그 시기는 선거운동이 한창 이뤄질 가능성이 높고 그만큼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릴 것"이라며 "이러한 점 등을 미뤄봤을 때 건설사들이 선거 이후로 일정을 조정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6월 대선 이전까지는 건설사들의 관망 기조가 이어질 것이 확실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부동산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탄핵 정국 장기화와 부동산 시장 침체가 맞물리면서 건설사들의 공급일정 조율에도 어려움이 이어지는 상황"이라며 "건설사들 입장에선 공급일정을 내놓고도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일정을 계속해서 미룰 수 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건설사들이 공급 일정을 대략적으로 계속해서 내놓고 있지만, 미분양에 대한 우려와 공사비 상승 기조 지속 등으로 정작 분양공고는 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6월 대선 이후 정권이 들어설 때까지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