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붕괴사고 실종자 수색 이틀째…지반 약화·구조물 엉켜 난항

실종자 위치 파악 아직…비바람에 기상조건 악화까지 "매몰추정 두세곳…한 지점씩 쪼개 '살라미' 수색해야"

2025-04-13     이승구 기자
붕괴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현장 붕괴 사고 발생 사흘째, 실종된 50대 작업 관계자 1명을 구조하기 위한 수색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지반 약화에 구조물까지 엉켜 있는데다 연일 비바람이 몰아치는 등 기상조건까지 악화되면서 섣불리 내부 수색에 나서지 못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소방당국은 13일 오후 2시 10분 전날 강한 비바람 등 기상 악화로 일시 중단된 실종자 수색작업이 하루 만에 재개했다.

하지만 여전히 구조대원들이 지하터널 하부로 직접 진입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태다. 이들은 상부 공사현장에 설치됐던 안전펜스를 제거하는 등 원활한 수색작업을 위한 안전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임광식 광명소방서 소방행정과장은 이날 오후 사고현장 브리핑에서 "현장 자체가 위험 요소로 가득 차서 (하부로 진입하는) 구조작업이 어렵다"며 "(하부 진입을 위해) 주변 위험물을 제거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사고현장 내부는 컨테이너, 크레인, H빔 등 기존 지하터널 공사를 위한 갖가지 구조물들이 붕괴로 인해 복잡하게 얽혀 있어 불안정한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컨테이너는 경사진 곳에 위태롭게 매달려 있어 언제 무너져 내릴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사고현장 자체가 위험천만한데다 전날부터 내린 비로 현장 지지기반이 약화한 것도 구조작업에 큰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붕괴

현장을 진단한 전문가들은 전날 강수로 사고현장의 지반 침하가 계속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사고 발생 약 13시간 만인 지난 12일 오전 4시27분 구조된 20대 근로자 A씨와 달리 여전히 실종 상태인 포스코이앤씨 소속의 50대 B씨의 경우 실종 48시간이 지났지만 정확한 위치 확인조차 되지 않고 있다.

경기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이 파악되면 그곳을 집중적으로 수색하면 되는데, 그렇지 않다면 겉에서부터 한 지점씩 쪼개서 확인하는 이른바 '살라미 전술법'으로 들어가야 한다"며 "현재 예측되는 (매몰) 지점이 두세 곳 있으나 그곳에 접근하려면 상부 구조물을 하나씩 보면서 (위험 요소를 제거하며) 작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장 상황이 여의찮지만, 실종자 구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께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근로자 19명 중 2명이 각각 고립·실종됐는데, 실종됐던 굴착기 기사 A씨는 13시간여 만에 구조됐으나 B씨 실종 48시간이 넘도록 실종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