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위기설 현실화…건설업계 긴장 고조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지난해부터 지적된 건설업계 4월 위기설이 현실이 되는 모양새다. 1분기 전국에서 건설회사 폐업이 160건에 달했고, 지역을 대표하는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이 줄을 잇고 있다. 건설업황 회복 기미는 보이지 않아 줄도산 행렬이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란 어두운 전망이 나온다.
1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1~3월 종합건설사 폐업신고 건수는 총 160건으로 집계됐다. 올해들어 하루에 한 곳 이상이 폐업을 한 셈이다.
수년간 건설업계의 불황이 누적되면서 여력이 없는 중소건설사들을 중심으로 사업포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이 수치는 지난 2011년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불어닥친 건설업 침체상황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이미 지난해부터 올해 4월이 건설업계의 가장 큰 위기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 가운데, 이러한 위기설이 현실화 되는 모양새다.
이미 지난 1월 업계 50위권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를 시작으로 위기의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신동아건설 이후에도 대저건설, 삼부토건, 이화공영, 벽산엔지니어링, 대우조선해양건설, 대흥건설 등 지역을 대표하는 중견급 건설사들의 법정관리행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몇 년간 이어져온 불황과 원가 및 금리 상승이 겹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한다.
실제 건설업의 이자비용은 지난 2023년과 비교해 3배 이상 급증했다. 대규모 PF사태가 발생한 이후 자금 유동성이 계속해서 악화된 이유다.
게다가 자금확보를 위한 사업 여건 마저 여의치 않게되면서 영업활동에도 차질이 생기고 있다.
원가와 인건비 상승에 따른 원가율 상승으로 마진율이 낮아진 것은 물론, 부동산 시장 침체까지 이어지면서 지방의 경우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다.
자금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데다, 지어도 남는게 없는 상황에서 아파트 건설을 분양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아파트 건설현장이 중단된 곳은 올해까지 총 17곳에 달한다. 금액으로 따지면 1조원이 넘는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건설업계 위기가 더욱더 심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실제 중소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여파로 하청업체들의 줄도산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위기감이 대형건설사까지 확산되고 있는 분위기여서다.
최근 지난해 실적 발표와 주주총회를 개최했던 대형건설사들 역시 "신사업 확대"를 주요 목표로 제시하면서 사업 다각화를 강조하기도 했다.
게다가 7월부터 시행되는 대출규제도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라는 지적이다.
집을 구매해야하는 실수요자들이 자금을 조달할 여력이 낮아지면서, 자연스레 미분양이 적체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이럴 경우 4월 위기에 이어 7월 이후에도 더 큰 위기가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중소건설사들을 중심으로 PF 이자와 원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며 줄도산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7월 대출규제까지 현실화 될 경우 현재 적체된 미분양 물량의 해소도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중소 건설사들의 영업이익률이 지속 하락하는 점도 고민거리"라며 "건설경기 부양을 위한 대책마련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IMF 시절을 뛰어넘는 지금껏 보지 못한 최악의 불황에 치닫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