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제약업계, 관세 폭탄에 제조비용 급등 우려···"의약품 공급 차질" 경고

2025-04-02     김예령 기자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미국 정부의 관세 강화 움직임에 대다수 미국 제약사들이 제조 비용 급증과 의약품 공급 차질에 우려를 나타냈다.

2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최근 미국바이오협회(BIO)가 회원사를 대상으로 의약품 관세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대부분의 회원사는 관세 부과가 의약품의 가용성과 혁신을 저해할 것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미국 바이오 기업의 약 90%는 자사 식품의약국(FDA) 승인 의약품의 절반 이상이 수입한 구성품에 의존한다고 밝혔다. 특히 유럽, 중국, 캐나다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에 의약품 공급이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유럽 연합(EU)에서 수입되는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엔 "제조 비용이 급증할 것"이라며 저렴한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94%에 달했다. 이어 캐나다(82%), 중국(70%), 인도(56%) 등 의약품에 대해서도 비슷한 우려가 제기됐다. 

또 응답 기업의 50%는 EU에 대한 의약품에 관세 부과 시 "새로운 연구·제조 파트너를 찾겠다"고 응답했다.

응답 기업의 절반은 "규제 신청 작업이 지연되거나 재작업해야 할 수 있고, 혁신의 속도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답했으며, 80%는 다른 공급업체를 찾는 데 최소 1년이 걸릴 것으로 답했다. 이들 가운데 44%는 업체를 찾는 데 2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망해 치료제 파이프라인 지연 가능성도 우려했다. 

존 크롤리 미국바이오협회 회장은 성명서를 통해 "관세의 부정적인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며 "행정부 및 의회와 협력해 미국 바이오 제조업의 르네상스를 촉진하기 위한 민간 부문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정책을 개발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관세 리스크에 대응해 일부 미국 빅파마(대형 제약사)는 미국 내 생산 역량 확대에 나섰다. 일라이 릴리는 향후 5년간 4개 신규 생산시설을 포함해 약 270억 달러를 투입해 미국 내 제조라인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머크도 미국 내 백신 생산시설 강화에 10억 달러, 존슨앤드존슨은 제조시설에 55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