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아파트 입주물량 '뚝'…전월 대비 48% 감소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4월 아파트 입주물량이 전월 대비 절반 수준에 머무를 것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26일 직방 조사에 따르면 2025년 4월 입주물량은 1만 3,814세대로 전월(2만 6,337세대)대비 48%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지방 모두 입주물량이 줄며 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폭이 눈에 띈다.
4월 수도권은 4,067세대 입주하며 1만 4,590세대 입주했던 전월 대비 72% 적은 물량이 공급된다.
서울, 경기지역에서 단 407세대, 1,517세대가 입주한다. 특히 경기지역은 2017년 3월(1,346세대)이후 가장 적은 입주물량이 공급돼 예년 대비 적은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지방은 9,747세대 입주해 전월(1만 1,747세대)보다 물량이 17% 적다.
지역별로 광주 2,392세대, 대전 1,740세대, 부산 1,651세대, 경남 1,570세대 등 광역시 위주로 입주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이 외 경북 756세대, 충북 644세대, 대구 424세대, 충남 293세대, 전북 277세대가 입주한다.
올해 1분기에는 7만 9,782세대의 새 아파트가 입주했으며, 남은 2~4분기에는 각 분기당 약 5만 세대 수준의 입주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라는 게 직방 측의 설명이다.
직방 김은선 빅데이터랩실장은 "예년 동기간 비교 시 적은 물량이 공급되지만 공급감소는 주로 물량 부담이 컸던 수도권 외곽과 지방광역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단기적인 시장 충격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면서도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전체적인 공급 감소로 인해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이 부각되면서 주택 가격 상승과 임차 시장 불안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처럼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는 19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에는 △서울 주요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서울 도심 내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속도 제고 △신축 매입약정 및 수도권 공공택지의 조기 공급 등을 통해 주택 공급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김 실장은 "현재 주택 공급 축소에 대한 불안이 업계 곳곳에서 제기되는 만큼, 정부가 후속 세부 방안을 얼마나 신속하게 제시할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