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구의 치트키] '게임특별위' 출범…'게임산업 부흥' 첫발이길

2025-03-08     곽민구 기자

컨슈머타임스=곽민구 기자 | 더불어민주당 게임특별위원회가 지난 7일 출범했다.

게임산업을 주요 국정 과제로 삼으며 대한민국을 게임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정책이 동력을 잃은 상황에서 이는 반가운 소식이다.

특히 게임을 '질병 코드'로 등재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기 때문에 한숨을 돌릴 수 있는 소식이기도 하다.

최근 통계청이 세계보건기구(WHO)의 '게임 이용 장애 질병코드(ICD-11)'를 한국표준질병분류(KCD)에 등재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통계청이 곧바로 해명에 나섰지만 한 번 발화한 논란은 쉽게 꺼지지 않았다.

지난해 게임산업은 어려운 대내외 환경에도 크게 성장한 일부 기업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힘든 한 해를 보냈다. 그럼에도 넥슨 2027년까지, 크래프톤은 5년 내로 매출 7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각각 밝힐 만큼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제대로 된 정책 지원 없이 이뤄진 것이라 뿌듯하면서도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그간 역대 정부들이 출범하면서 '게임 진흥 정책'을 내세웠지만, 실질적인 지원은 없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산업의 성장을 막는 규제들이 제시되기 일쑤였다.

이제는 정치권의 게임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정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이미 다 알 것이다. 더 늦기 전에 게임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부흥책을 진행해야 하는 시점이다.

꾸준히 성장을 거듭하던 국내 게임산업이 2023년 10.9% '역성장'했다는 분석이 있다. 실제로 국내 대형 게임사들이 힘든 상황에 처해 있으며, 중소 게임사도 마찬가지다.

국내 게임사들은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 '트리플 A급' 게임 개발, 글로벌 시장 진출 등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개발 중인 게임들이 국내외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만큼 반등을 꾀할 때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함께 한다면 게임산업이 살아나는 데 큰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지원도 중요하지만, 규제로 발목을 잡는 일도 없어야 한다.

게임은 영화나 음악 같은 콘텐츠 산업보다도 압도적인 시장 규모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K-콘텐츠 부흥에 반드시 게임도 포함돼야 한다. 이는 정계에서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는 게임산업 부흥의 움직임이 없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제라도 정치권은 게임산업 부흥을 위해 움직여야 한다. 게임특별위원회가 그 첫발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