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코로나19 발발급 충격
전 산업생산, 4년 11개월 만에 최대 폭 줄어…소매판매 0.6%↓ 설비투자 14.2% 급감…정부 "기저효과·설 영업일 감소 영향"
올해 첫 달 생산과 소비, 투자 지표가 일제히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경제활동 세 축이 모두 위축되는 이른바 '트리플 감소'가 나타난 건 작년 11월 이후 두 달 만이고 감소 폭은 커졌다.
건설업과 경기흐름 지표까지 모두 악화하면서 경기 부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기저효과와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 감소 영향이 작용했다며 회복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수출 둔화에 생산 감소…제조업 출하도 줄어
통계청이 4일 발표한 '1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1.2(2020년=100)로 전달보다 2.7% 감소했다.
지난 2020년 2월(-2.9%) 이후 4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2020년 2월은 우리나라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규모 발생하기 시작한 때다.
전산업 생산은 작년 11월 1.2% 줄었다가 12월(1.7%) 증가했지만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전월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수출 둔화 영향이 작용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광공업생산은 2.3% 감소했고 이 가운데 제조업은 2.4% 줄었다.
제조업 생산은 기타운송장비(2.8%), 의약품(2.1%) 등에서 늘었으나, 기계장비(-7.7%), 전자부품(-8.1%) 등에서 줄었다.
반도체 생산은 0.1% 늘었지만 증가세는 둔화했고 자동차 생산은 0.4% 감소했다.
제조업 출하(-6.2%)도 재고(-0.3%)보다 크게 감소했다.
◇ 내수도 회복 못해…임시공휴일 효과 미미
지난해 내내 이어진 내수 부진도 새해 회복되지 못하는 모습이다.
설 연휴에 이은 임시공휴일 지정도 효과가 미미해 보인다. 다만 정부는 부문별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0.8% 감소했다.
긴 연휴로 숙박·음식업(1.4%), 예술·스포츠·여가(0.9%) 등 대면업종은 소폭 개선됐다.
그러나 수출입 감소 등 영향으로 도소매업(-4.0%), 운수·창고업(-3.8%)은 부진했다.
재화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는 내구재(1.1%)가 늘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2.6%), 화장품 등 비내구재(-0.5%)에서 판매가 줄어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작년 10월과 11월 0.7%씩 감소했다가 같은 해 12월(0.2%) 소폭 늘어난 뒤 다시 줄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12.6%),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17.5%)에서 투자가 모두 줄어 전달보다 14.2% 감소했다.
2020년 10월(-16.7%)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4.1%)과 토목(-5.2%)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직전 달보다 4.3% 감소했다.
작년 8월(-2.1%) 이후 6개월째 감소하며 감소폭은 확대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