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2036 올림픽 유치 국내 후보지 선정…서울 꺾는 '이변'
지방 연대 통한 '균형 발전' 콘셉트로 '경험·인프라' 내세워 승리 김관영 지사 "연대와 화합·균형발전 올림픽, 문화올림픽 선보일 것"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서울특별시를 제치고 '2036년 하계 올림픽' 유치에 도전할 국내 후보지로 선정됐다. 당초 서울시가 우세하다는 예상을 뒤엎은 이변이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연대와 화합의 올림픽, 균형 발전의 올림픽, 지속 가능한 문화올림픽을 세계에 선보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전북은 지난달 28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대한체육회 2025년도 정기 대의원총회에서 진행된 2036 올림픽 유치 국내 후보지 선정 투표에서 유효투표수 61표(무효표 1표) 중 49표를 획득해 11표를 얻은 서울시를 꺾고 2036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 후보 도시로 선정됐다.
이로써 전북은 지난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우리나라에서 48년 만의 하계 올림픽을 열기 위한 도전에 나서게 됐다.
이날 총회에서는 김관영 전북지사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각각 45분 프레젠테이션(PPT)을 통해 올림픽 유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프레젠테이션이 끝난 후에는 15분간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이후 평가위원회의 조사 결과 보고를 거쳐 대의원들이 무기명 비밀 투표에 참여했다. 전체 대의원 120여명 가운데 올림픽 37개 종목의 대의원 2명씩 총 74명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이날 62명이 표를 던졌다.
그 결과, '국가 균형 발전'을 주장하며 '지방 도시 연대'를 내세웠던 전북이 1988년 서울 올림픽 성공 개최 경험과 각종 인프라의 장점을 부각한 서울에 큰 격차로 압승을 거뒀다.
전북도는 2036 하계올림픽 개최지가 되기 위해 다른 국가의 도전 도시와 본격적인 경쟁에 뛰어든다.
누산타라(인도네시아), 이스탄불(튀르키예), 아마다드-뉴델리(인도), 산티아고(칠레)가 유치 의사를 드러냈고, 도하(카타르), 피렌체(이탈리아), 코펜하겐(덴마크) 등이 유치 의사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서울과 경쟁에서 전북이 후보지로 결정된 것에 대해) 누군가는 이변 혹은 기적이라고 말하지만 우리 도민의 도전 정신과 헌신, 열정이 이뤄낸 당당한 성취이자 빛나는 성공"이라며 "연대와 화합의 올림픽, 균형발전의 올림픽, 지속 가능한 문화올림픽을 세계에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강선 전북체육회장을 비롯한 체육인, 국회의원, 시·군 의원과 단체장, 홍보대사들에게도 감사의 뜻을 표했다.
김 지사는 "인도와 이집트 등 2036 하계올림픽 유치에 뛰어든 도시가 10여곳이고 국제 무대의 벽은 더욱 높다"며 "올림픽 유치를 책임질 전담 조직을 곧바로 꾸리고 도의회와 협력해 필요한 추경 예산을 편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남, 광주, 충남, 충북, 대구 등 연대 도시와의 협력 방안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정부 심의, 국내 승인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겠다"며 "올림픽 개최도시 사전 선정 기구인 '미래유치위원회'를 방문해 전북의 강한 의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