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기 '변동' 유리?…대세는 '고정' 후 갈아타기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한은 금통위)가 지난달 통화정책방향을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금리 인하기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은행들의 주탁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4개월 연속 내림세를 나타내며 시중은행의 금리 인하 행렬이 이어질 전망이다.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 대출 수요자들은 더 낮은 금리를 찾아 헤맬 수밖에 없다. 이에 시장금리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변동금리에 수요자가 몰릴 가능성이 높다. 다만, 대출 차주들은 대내외 변동성과 시장 불확실성 탓에 현재까진 고정금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다만 현재까진 시장금리는 기준금리 인하분에 반영되지 않은 상태다. 가산금리 조정으로 금리 하락이 시장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탓이다.
그러나 최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당국이 대출 차주가 체감할 수 있도록 은행들이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대출금리 인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정금리의 경우, 대출 실행 후 만기까지 동일하게 유지돼 금리 상승기에도 별 타격 없이 인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요즘같은 금리 하락기에도 이자 부담이 크다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변동금리는 일정 주기마다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대출금리가 바뀌면서 금리 인하기엔 이자 부담이 해소될 수 있으나, 반대로 상승기엔 이자 부담이 커진다.
이에 금리 인하기엔 고정금리보다 저금리인 변동금리를 선호하는데, 최근에는 고정금리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새 고정금리가 변동금리 대비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은행권에 순수 고정금리 판매 비중을 늘리라는 지침을 내렸다.
이처럼 당국이 가계대출 변동성 관리를 이유로 은행권에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확대하라고 지시하면서 시중은행들은 잇따라 고정금리를 낮췄다.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간 비중은 점점 더 벌어졌다.
실제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3.47~5.97%로 제공되는 반면 변동금리는 4.22~6.27%로, 변동금리가 하단 기준 0.75%포인트 높다.
이같은 금리 차때문에 은행권 고정금리 비중은 앞으로도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말 주담대(잔액기준) 고정금리 비중은 지난해 말 65.7%까지 확대된 반면, 변동금리 비중은 34.3%까지 축소됐다.
여기에 향후 시장금리가 본격적으로 떨어지면 대출 갈아타기를 통해 저렴한 상품으로 이동할 차주들이 몰릴 수 있어 굳이 변동형을 선택지에 넣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지난 1월부터 중도상환수수료가 대폭 인하하면서 은행권에서도 대출 차주에게 고정금리를 추천한 뒤, 갈아타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담대 고정금리 중도상환수수료율은 기존 1.4%에서 올해 초부터 0.58∼0.74%까지 낮아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통상 금리 인하기엔 변동금리가 유리하다는 게 정설로 여겨진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시장 상황을 보면 리스크가 적은 고정금리를 선택한 후 갈아타기 방식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 변동금리의 매력이 줄어든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