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금융당국, F4 회의서 '계엄 쪽지' 의혹에 "사실무근"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금융당국과 한국은행은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에서 계엄 관련 예비비 등 재정자금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는 이른바 '계엄 예비비 쪽지' 의혹을 사실무근이라고 전면 부인했다.
한은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8일 공동으로 합동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정치권 일각에서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오후 11시40분 열린 F4 회의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관련 쪽지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논의 자리', '이들은 착실하게 내란을 함께 실행한 주체'라는 등의 주장이 나온다"며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이같이 반박헀다.
이창용 한은 총재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감원장 등이 참석한 당시 F4 회의와 관련해서는 "지난해 12월 3일 밤 긴급하게 모인 F4 멤버들은 당일 회의에서 비상계엄 선포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며 발생한 외환시장 불안에 대한 긴급안정 방안과 다음날 주식시장 개장 여부 등을 우선 논의하고 '시장 불안 요인에 대응해 모든 가능한 금융·외환시장 안정수단을 총동원하겠다'는 시장 안정 목적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 기관은 이를 시행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추가 시장안정 조치를 마련해 (다음날) 오전 7시에 다시 F4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이같은 정치권의 주장이 일부 매체를 통해 보도되고, 이 총재와 김 위원장, 이 원장 등 F4 회의 참석자들을 향해 "내란을 함께 실행한 주체"라는 비난까지 나오자 해명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금융당국과 한은은 "F4 회의에서 비상계엄 관련 쪽지 내용을 논의했다는 등의 주장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면서 "F4 관계 기관들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며 금융·경제 안정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편 앞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계엄 직전 열린 국무회의에서 계엄 관련 쪽지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쪽지에는 '계엄 관련된 예비비 관련 재정자금 확보' 등의 지시사항이 적힌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