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전망] 국내 친환경차 시장, 하이브리드 주도…전기차·수소차 '재도약' 준비

2025-01-09     강나연 기자

컨슈머타임스=강나연 기자 | 지난해 국내에서 친환경차가 45만대 이상 팔리면서 역대 최고치를 달성한 가운데 올해에도 친환경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하이브리드차가 시장을 주도한 가운데 정부 정책 변화로 전기차와 수소전기차(이하 수소차)가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9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자동차(이하 르노코리아)·KG모빌리티(이하 KGM) 등 5개 완성차 업체의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전년 대비 11.1% 증가 증가한 45만194대로 집계됐다. 

이중 하이브리드차는 35만6058대가 판매되며 전년 대비 24.9%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전체 친환경차 판매량의 약 88%를 차지하는 수치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다소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전기차는 9만1385대 판매로 전년 대비 21.2% 감소하며 10만대 선이 무너졌고, 수소차 역시 2751대에 그쳐 36.4% 감소했다.

2025년에는 친환경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하이브리드차는 여전히 안정적인 판매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는 충전 인프라 확충과 정부 보조금 정책 개선에 힘입어 반등할 가능성이 있고, 수소차는 상용차 시장을 중심으로 한 수요 증가가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친환경차 지원 정책은 올해부터 전기차와 수소차 중심으로 전환된다. 하이브리드차는 지원이 축소되지만, 전기차와 수소차의 혜택은 더욱 강화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7월 전기차와 수소차에 대해 올해 말까지 개별소비세 최대 300만원, 취득세 최대 140만원의 감면 혜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충전 인프라 확충과 보조금 제도 개선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하이브리드차는 올해부터 개별소비세 감면 한도가 기존 100만원에서 70만원으로 줄어든다. 취득세 감면 혜택도 폐지된다. 정부는 하이브리드 차량 대신 무공해 차량인 전기차와 수소차 지원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무공해 차량 보급을 확대하기 위함이다. 하이브리드차 지원 축소에도 안정적인 수요 덕분에 꾸준히 판매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정부 지원과 충전 인프라 확충을 바탕으로 일시적인 수요 정체를 극복하고, 중장기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국내 친환경 지원 정책이 변화에 맞춰 자동차 업계는 전략 강화에 나서고 있다. 정부 정책이 탄소 중립 목표와 무공해 차량 확대를 목표로 하는 만큼 각 기업은 다양한 기술 개발과 신제품 출시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현대차는 하이브리드차 모델 확대와 차세대 기술 도입에 주력하고 있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6월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을 기존 7종에서 14종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TMED-Ⅱ'를 2025년 1월부터 양산 차량에 적용할 계획이다. 전기차 분야에서는 대형 전기 SUV '아이오닉 9'을 앞세워 미국과 유럽 시장을 집중 공략할 전망이다.

기아는 전기차 라인업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 준중형 세단 'EV4', 콤팩트 SUV 'EV5', 대형 SUV 'EV9 GT' 등 출시를 목표로 하며 다양한 고객층을 공략하고 있다. 이와 함께 브랜드 최초의 픽업트럭 '타스만'과 목적 기반 차량(PBV)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며 전기차 중심의 다각화된 사업 전략을 추진 중이다.

KGM은 글로벌 협력을 통해 친환경차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2023년 11월 BYD와 협력해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기반으로 '토레스 하이브리드'와 '무쏘 EV'를 출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