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에 탄핵정국 불안 심화 겹쳐…환율 1,500원 가나
환율 주간 거래 종가 1,464.8원…금융위기 이후 첫 1,460원대 마감 "1,500원 넘어서면 위기 가능성도…적극적인 금리·재정 정책 필요"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후 처음으로 장중 1,460원대 중후반으로 치솟으며 1,500원 돌파에 관한 우려를 키웠다.
국내외 요인이 모두 원화에 악재로 작용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의 탄핵이 가시화되는 등 국내 정치 혼란이 확대됐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둔화 예상에 달러 강세가 계속됐다.
전문가들은 더 적극적인 시장 안정화 조치와 내수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금리·재정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 원/달러 환율 1,460원도 뚫렸다…15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
2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 거래일보다 8.4원 오른 1,464.8원을 기록했다.
주간 거래 종가가 1,460원 선을 넘어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15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날 환율은 한 때 상승 기세가 주춤했으나 오후 한덕수 대행의 대국민 담화 발표를 계기로 다시 오름폭을 키웠다. 환율은 오후 3시 20분에는 1,466.0원까지 뛰며 1,470선을 위협했다.
연말 거래량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 변동성은 더욱 확대됐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한덕수 대행의 탄핵 가능성이 지난 24일부터 시장에 영향을 미치다가 오늘 원화 약세 압력으로 본격 작용했다"며 "국가 컨트롤 타워 부재에 대한 우려가 원화 투자심리를 취약하게 했다"고 말했다.
서정훈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도 "무정부 사태에 준하는 상황에서 다음 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며 "이런 신인도 불안 요인으로 인해 일각에선 환율이 1,500원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미 연준이 내년 정책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한 것도 달러 강세를 촉발하면서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가 발표된 지난 19일 환율은 1,450원을 넘었고, 이후 4거래일간 1,450원대 머물며 고공행진을 했다.
◇ "트럼프 취임 전후 1,500원 가능성도…적극적인 대응 필요"
서정훈 수석연구위원은 "트럼프 당선인 취임 전까지는 1,490원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고, 취임 후 대중국 관세 정책 등이 바로 실행되면 1,500원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도 "트럼프 행정부가 빠르게 관세 정책을 추진하면 글로벌 경기 우려가 커지고 연준의 금리 인하가 조기에 중단되면서 달러 추가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경기 둔화에 따른 한은의 금리 인하가 맞물리면 환율은 1,50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