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에 켜진 '적신호'…업계, 비상계엄으로 '타격'

환율급등에 해외 임상·원료의약품·투자유치 등 차질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도 지연

2024-12-11     김예령 기자
지난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로 인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적신호가 켜졌다.

환율 급등으로 글로벌 임상 진행과 원료의약품 수입에 타격을 받은 데다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도 기약 없이 미뤄지면서다.

11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업계 관계자들은 계엄 사태 이후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사업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환율이 오르면 해외 임상시험을 시행하는 데 더 큰 비용이 들어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지난 3일 비상계엄 이후 환율은 1400원대를 훌쩍 넘어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7.1원 오른 1434원에 개장했다.

업계는 환율 상승으로 인해 신약 개발에 필요한 장비나 원료의약품을 수입하는 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계엄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이 바이오 벤처에 집중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외국 자본, 국내 펀드 등이 모험자본에 대한 투자를 꺼리게 됐다"며 "바이오 벤처는 글로벌 및 우리나라 펀드의 투자를 받고 빅파마(글로벌 대형 제약사)와의 협업을 통해 기회를 얻는데 이 부분이 불안정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투자를 못 받으면 연구개발(R&D) 진행도 어려워진다"고 덧붙였다.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도 출범 시기가 불투명해지면서 바이오 육성 정책도 발목이 잡혔다. 

이달 출범 예정이었던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아 바이오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 기능할 방침이었으나, 윤 대통령의 정상적 직무 수행이 어려워지면서 출범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또한 한덕수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은 민간 합동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도 다음 회의 개최일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업계는 하루빨리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을 줄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태는 어디까지나 정치의 문제로 산업은 계속 돌아가야 한다"며 "해외 파트너 기업과 소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기업 가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