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임단협 타결로 파업 철회…'출근길 대란' 피했다
1·2·3노조 새벽 극적 합의…임금 2.5% 인상·630명 신규채용·근무환경 개선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 간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6일 노조의 파업을 목전에 두고 극적으로 타결됐다.
공사와 제1노조인 민주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노조는 이날 오전 2시께 임단협 본교섭 합의서에 서명했다.
이로써 노조는 이날 첫차부터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던 파업 계획을 철회했다.
노사는 전날 오후 4시 13분께 서울 성동구 본사 인재개발원에서 5차 본교섭을 개시했다.
이후 네 차례 정회와 속개를 거듭하며 내부 회의를 진행한 끝에 날짜를 넘겨 오전 1시 24분께 최종 교섭 테이블에 마주 앉았고, 합의에 도달했다.
합의문에는 630여명의 신규 채용을 조속히 실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정년퇴직 인원(올해 301명) 충원과 더불어 결원 인력에 상응하는 추가 채용을 하기로 했다.
애초 서울시의 서울교통공사 채용 승인 인력은 464명이었다.
노조가 인력 감축과 이용객 안전을 이유로 우려를 표했던 2호선 1인 승무제 도입에 대해서는 '노동자와 이용 승객 안전을 고려해 도입을 중단한다'는 사측 대표의 입장을 최종 확인했다고 노조는 밝혔다.
임금 인상은 올해 공공기관 인건비 지침인 2.5%로 합의했다.
노조는 "지금까지 사측은 2.5% 인상이라는 정부 가이드라인을 지킨 적이 없어 그 밑으로 받아왔는데 이번에는 온전히 받게 됐다. 부족하지만 받아들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사는 제2노조인 한국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와도 이날 오전 2시 50분과 오전 4시 20분께 임단협 교섭을 잇달아 타결했다.
합의안은 임금 2.5% 인상, 신규 채용 630여명 등 핵심 내용은 1노조와 큰 틀에서 같고 그 외 근무조건 관련 세부 내용만 약간 다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