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기 신도시 선도지구 발표…"2차 선도지구 지정은 계획 없어"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1기 신도시 선도지구를 발표했다. 정부는 다만 '2차 선도지구' 지정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연차별로 정해둔 2만가구 안팎의 정비 물량 내에서 순차적으로 재건축을 추진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1기 신도시 선도지구를 지정하며 내년부터는 공모 없이 주민 제안 방식으로 연차별 정비 물량 내에서 승인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1기 신도시 선도지구가 선정된 지역은 분당에서 ▲ 샛별마을 동성(2843가구) ▲ 양지마을 금호(4392가구) ▲ 시범단지 우성(3713가구) 등이다.
일산은 ▲ 백송마을 1단지 등(2732가구) ▲ 후곡마을 3단지 등(2564가구) ▲ 강촌마을 3단지 등(3616가구)이 포함됐다.
평촌은 ▲ 꿈마을금호 등(1750가구) ▲ 샘마을 등(2334가구) ▲ 꿈마을우성 등(1376가구)가 선정됐고, 중동은 ▲ 삼익 등(3570가구) ▲ 대우동부 등(2387가구)이 선도지구에 이름을 올렸다. 이 밖에도 산본에선 ▲ 자이백합 등(2758가구) ▲ 한양백두 등(1862가구)이 포함됐다.
정부는 선도지구 공모 결과 주민들 사이 동의율 확보 경쟁이 격화돼 피로감이 상당하고, 지방자치단체들도 공모 방식을 원치 않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대략적인 정비사업 순서를 내년께 정하겠다는 방침이다. 1기 신도시 각 지자체는 수민 의견 수렴을 거쳐 내년 상반기까지 구역별 정비계획 수립 시기를 제시하기로 했다.
선도지구를 거점으로 놓고, 인근 구역을 연계 정비하는 방안 역시 고려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지금은 10년에 걸쳐 연간 2만∼3만가구씩 정비하는 연차별 물량만 설정해둔 상태다. 5개 지자체가 수립한 정비기본계획에 담긴 물량은 2025년 3만400가구, 2026년 2만6200가구, 2027년 2만3200가구, 2028년 2만2200가구, 2029년 2만8400가구 등이다.
분당의 경우 1년 차(2025년) 1만2000가구를 시작으로 9년 차(2033년)까지 연간 1만가구 안팎을 정비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10년 차인 2034년 정비 물량만 2만7000가구로 늘어난다.
국토부는 물량 내에서 지자체가 여건에 맞춰 다양한 방식으로 순차정비 방식을 정할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선도지구 다음 재건축 단지 윤곽은 내년 말쯤 나올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