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PF에 은행·보험 최대 5조 뉴머니 투입된다
컨슈머타임스=이지영 기자 |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평가 기준을 개편한다. 은행·보험사는 최대 5조 규모의 자금을 투입할 방침이다.
13일 금융당국이 발표한 '부동산 PF의 질서 있는 연착륙을 위한 향후 정책 방향'에 따르면 부실 사업장 평가 기준은 4단계로 개편된다. 부실 우려 사업장으로 분류되면 매각 혹은 경·공매 처리되는 식이다.
사업성 평가 대상에는 기존 본PF·브리지론 외에도 토지담보대출, 채무보증 약정, 새마을금고 대출채권을 새로 포함한다.
금융사들은 새 기준에 따라 내달부터 PF 사업장을 재평가해야 한다. 금감원은 7월부터 평가 및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점검할 계획이다.
부실 우려로 평가된 사업장은 기본적으로 경·공매 대상이 되며 민관이 함께 인수에 나선다.
이에 따라 5개 은행과 5개 보험사는 다음 달 1조 규모 신디케이트론(공동 대출)을 조성해 경락자금대출·부실채권 매입 지원 등에 나선다. 최대 5조까지 규모가 확대될 예정이다. 자금 부담을 낮추기 위해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캐피털콜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도 올해 안에 새마을금고와 저축은행 업계에 각각 2000억 원의 자금을 추가 지원하고 PF 매도자에 대한 우선매수권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PF 처리를 지원하는 민관 금융기관에는 건전성 분류 혜택 등 각종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PF 사업장 매각 및 신디케이트론 지원 등으로 손실이 발생 시 금융회사 임직원에 대한 면책도 범위를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