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 "4·3사건, 화해·상생의 역사 되도록 노력할 것"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서 "사건에 대한 아픔 위로는 국가 책무"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4·3사건과 관련해 "화해와 상생의 역사가 되도록 그 정신을 이어가며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덕수 총리는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6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4·3사건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라며 이 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정부는 4·3 사건의 상처를 보듬고 치유해 화합과 통합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초에는 4·3특별법을 개정해 사실과 다르게 왜곡된 가족관계를 바로잡을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했다"며 "그동안 가족관계 기록이 없어서 당연한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셨던 분들이 명예 회복과 함께 보상받을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2025년까지 추가 진상조사를 빈틈없이 마무리해 미진했던 부분도 한층 더 보완해 나가겠다"며 "생존 희생자·유가족의 온전한 회복을 위해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운영에 더욱 힘쓰고 '국제평화문화센터' 건립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도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4·3 희생자와 유가족분들은 기나긴 세월 동안, 제대로 된 진상규명도 받지 못한 채, 숨죽이며 살아왔다. 한분 한분의 무고한 희생과 아픔을 우리 모두 기억한다"라며 "제주도민의 화해와 상생의 정신이 분쟁과 갈등으로 고통 받고 있는 세계 시민들에게 소중한 교훈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한 총리는 "제주도민의 뜻을 받들어 4·3사건이 '화해와 상생의 역사'가 될 수 있도록 그 정신을 이어가겠다"며 "평화와 번영의 섬 제주가 과거의 아픔을 딛고, 대한민국 미래 성장의 중심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최대한의 노력을 다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