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먹튀 논란에 불법 지원금 의혹까지 '첩첩산중'
부정적 이슈에 적자 행진 '휘청'
컨슈머타임스=전은정 기자 | 카카오페이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불법 지원금 수수 의혹으로 경찰의 압수수색을 받자 투자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페이 주가는 5일 전거래일보다 1.84% 내린 4만5350원으로 마감했다. 카카오페이는 2021년 11월 24만8500원까지 오르며 30만원대를 바라보기도 했지만 회사를 둘러싼 부정적 이슈에 2년 6개월여 만에 주가가 내려앉았다.
카카오페이는 2021년 11월 상장 이후 사건·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난 3일에는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가 카카오페이에 대해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혐의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카카오페이 본사에 수사관을 보내 전자기록 등 혐의 관련 자료를 압수했다. 경찰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밴사 나이스정보통신 본사도 압수수색했다.
금감원은 최근 수시검사에서 카카오페이가 밴(VAN, 부가통신업자)사인 나이스정보통신으로부터 가맹점 우회 지원을 통해 불법 지원금을 받은 혐의를 포착했다. 밴사는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데이터를 카드사 등 금융기관으로 전달하는 업무를 대행한다. 금감원은 지난달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당국은 나이스정보통신이 카카오페이 결제사업에 대한 밴 거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지원금을 우회 지급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오프라인 카카오페이 결제 가맹점 모집을 위해 나이스정보통신에 대행 업무를 맡겼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페이가 가맹점 모집인 대리점에 줘야 할 모집 대행비를 나이스정보통신이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21∼2022년 두 차례에 걸친 프로모션 과정에서 나이스정보통신이 대리점에 카카오페이 대신 지급한 비용 규모는 수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대형가맹점이 부가통신서비스 이용을 이유로 부당한 보상을 받으면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이다.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르면 대형가맹점은 부가통신서비스 이용을 이유로 부가통신업자에게 부당한 보상금 등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카카오페이는 지난 2021년 말 상장 직후 경영진의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먹튀' 논란으로 홍역을 치르기도 했다. 당시 카카오의 공동대표 내정자였던 류영준 전 카카오페이 대표가 주식을 대거 매도하며 논란이 일었다.
이 사건으로 주가가 급락하는 등 대내외 이미지가 훼손됐다. 지분 매각 공시 전날(2021년 12월 9일) 20만8500원이던 주가는 다음날 6% 하락한 19만6000원을 기록했으며 주가는 계속 하향세를 탔다.
지난해 10월15일에는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페이의 일부 서비스가 수일간 정상화되지 않았다. SK C&C 데이터센터에서는 카카오페이의 모회사인 카카오 등이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었다. 당시 카카오페이는 온오프라인 결제, 해외 결제, 계좌 송금, 페이 카드 등 총 17개 서비스에서 장애를 빚었다.
일부 서비스의 경우 분할 운영 중인 가산 데이터센터로 전환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약 44시간이 지난 뒤에야 모든 서비스가 정상화됐다. 화재 다음 거래일인 17일 카카오페이 주가는 4% 넘게 떨어졌다. 금감원은 카카오페이에 대해 연내 제재를 시행할 방침이다.
여기에 실적 부진까지 이어지면서 투자심리는 더 냉각됐다. 카카오페이는 출범 이후 2017년 273억원 △2018년 965억원 △2019년 653억원 △2020년 179억 △2021년 272억원 △2022년 455억원 등 줄곧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영업손실 규모는 13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