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 M&A 무산에 '대량 실직·LCC 줄도산' 등 후폭풍 우려
[컨슈머타임스 이연경 기자]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이 무산되면서 항공업계에 후폭풍이 불고 있다.
2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일단 제주항공을 상대로 한 계약 해지 무효 소송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제주항공이 인수 포기를 선언한 지난 23일 "제주항공의 주장은 주식매매계약서에서 합의한 바와 다르고 제주항공은 계약을 해제할 권한이 없다"며 소송전을 예고한 상태다.
국토교통부가 이스타항공이 '플랜B'를 먼저 마련하면 정부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이스타항공은 현재 '플랜B'로는 신규 투자자 유치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자금 지원밖에 답이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노조는 하루빨리 기업 회생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이삼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위원장은 "정부는 노동자의 고용 유지를 위해 '플랜B'를 지원해주겠다는 건데 그러려면 회생 절차에 들어가야 한다"며 "회사가 실효성 없는 투자자 유치와 소송에 시간만 끌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사측은 이상직 의원이 지분을 내려놓지 않기 때문에 회생으로 가는 걸 기피하고 있다"며 "법정 공방이 오가면 모든 비리와 경영 부실이 나올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27일이나 28일 중으로 이 의원과 딸 이수지 이스타홀딩스 대표를 업무상 횡령과 배임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다.
제주항공은 일단 조만간 진행할 1585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당장 2대 주주인 제주도가 코로나에 따른 예산 부족을 이유로 유상증자 참여 규모를 80억원에서 40억원으로 줄이는 등 유상증자 성공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한준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600억원이 성공적으로 조달된다고 해도 국제선 수요가 크게 회복되지 않는다면 영업적자가 지속해 연내 현금이 또다시 소진될 것"이라며 "여전히 하반기 자금 조달 이슈가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앞서 LCC 사장단은 지난 22일 국회를 찾아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연장을 통해 대량실업과 항공산업 붕괴를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국내 항공사는 정부가 지급하는 고용유지 지원금으로 현금 유출을 최소화하고 있다"며 "(8월 말로) 지원책이 중단되면 항공사의 인건비 부담이 재차 커질 수 있어 정책 연장 여부가 주요 변수"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