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정 합의안' 부결한 민주노총…장외투쟁 노선 선택하나
'노사정 합의안' 부결됨에 따라 김명환 위원장 사퇴 가능성, 비대위 체제 가나
[컨슈머타임스 임이랑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 집행부가 대의원대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의 추인을 얻는데 실패했다.
일각에선 이번 노사정 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김 위원장이 사퇴할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해석을 내놨다.
민주노총은 온라인으로 개최한 71차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이 부결됐다고 밝혔다.
23일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한 찬반투표에서 재적 대의원 1479명 가운데 1311명이 투표해 과반수인 805명이 반대표를 던졌다. 찬성표와 무효표는 각각 499명, 7명이다.
이번에 투표로 진행된 노사정 합의안은 정세균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지난 5월 출범한 노사정 대표자회의에서 40여일 간의 논의를 거쳐 마련된 것이다.
해당 합의안에는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고용 유지 △기업 살리기 △사회 안전망 확충 등을 위한 협력 방안을 담고 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대화를 가장 먼저 제안하고 노사정 대표자회의에도 참여했다.
노사정 대표자회의는 지난 1일 협약식을 열고 노사정 합의안에 서명하려고 했으나 김 위원장은 중앙 집행위원회에서 일부 지역본부 대표 등의 반대에 막혀 협약식에 불참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직권으로 임시 대의원대회를 소집해 대의원들의 뜻을 묻기로 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10일 노사정 합의안이 대의원대회에서 부결될 경우 김경자 수석부위원장, 백석근 사무총장과 함께 즉각 사퇴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이번 노사정 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김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가 사퇴할 경우 민주노총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오는 24일 오후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거취를 포함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민주노총이 노사정 합의안을 거부함에 따라 당분간 장외 투쟁 중심의 노선을 걸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노사정 대화를 통해 사회적 대타협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부의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