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역관광 발전전략'서 무비자 체류 지방공항까지 허용

2019-12-12     장문영 기자
AKR20191212101400030_01_i_P2.jpg
[컨슈머타임스 장문영 기자] 정부가 지역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방 공항에 출발·도착하는 항공 노선을 늘리는 것에 더해 환승 관광 시 허용되는 무비자 체류를 지방 공항으로 확대 도입한다.

정부는 12일 충북 청주의 복합문화공간인 '동부창고'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4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여행자 중심 지역관광 발전전략'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지역관광 발전을 저해하는 4가지 요인으로 △지역관광 정보 부족 △비자 발급 및 지방 공항 출입국 불편 △지역 내 관광교통 미흡 △바가지요금 등 낮은 서비스 품질을 꼽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모색했다.

우선 정부는 지방 공항으로 입국하는 외래 관광객 환대 기간을 지정해 특가 항공권을 판매하거나, 여행 상품을 할인하는 등 대규모 홍보 행사를 추진한다. 아울러 지방 공항 출발·도착 및 환승 항공 노선을 확충하고, 지방 공항 환승객을 위한 관광 프로그램을 시범 도입한다.

또 인천공항 환승 관광 시 72시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던 것을 내년부터는 지방 공항에 대해서도 확대 허용키로 했다.

정부는 또 비자 발급에 편의를 더하기 위해 중국 알리페이 신용등급 우수자 약 2200만명에 대해서는 비자 관련 서류를 간소화해준다. 신남방 국가 청년들이 최대 1년간 한국에서 어학연수를 받으며 지역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한·아세안 관광 취업 협정도 체결할 계획이다.

이외에 공항과 기차역 등 지역 교통거점을 중심으로 관광 순환 버스나 시티투어버스, 셔틀버스가 다니도록 해 지역 간, 지역 내 관광지 연계를 강화한다.

아울러 지역 숙박업소 요금 및 해수욕장 시설 사용요금 공개를 의무화하도록 관련 법령도 개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내년 방한 외래관광객을 2000만명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올해 방한 외래관광객은 1740만명(추정치)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