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차 후부안전판 문제, 그대로 놔둘 것인가?
상태바
화물차 후부안전판 문제, 그대로 놔둘 것인가?
  •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autoculture@naver.com
  • 기사출고 2021년 03월 02일 10시 09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길거리에서 자동차의 안전이 위협받는 사례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 만큼 아직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높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기록하고 있고 높은 교통 악조건도 많은 상황이다.

물론 예전에 비하여 사망자수도 줄고 있고 각종 교통 인프라도 개선되면서 점차 좋은 효과가 나오고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계도보다는 강제적인 법적 구속력을 키우는 부분이 많아 가중 처벌 조항 등 논란도 많은 상황이다.

확실히 선진적인 제도는 단속이나 강화된 법적 규제보다는 계도를 중심으로 중장기적인 교육을 통한 문화적 성숙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한 길거리에서 운전자가 가장 조심하여야 할 부분이 바로 화물차 주변 운전이라 할 수 있다.

필자도 자동차와 교통 관련 정책이나 자문을 해주면서 가장 조심하여야 할 운전 방법으로 주변에 큰 차를 두지 말라고 자주 언급하곤 한다.

앞뒤에 화물차나 버스 등 큰 차가 존재할 경우 시야 확보에 문제가 크고, 작은 덩치의 승용차는 대형차 밑으로 파고 들어가는 언더라이드 현상으로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당연히 사망자수도 매우 높고 형체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심각한 사고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자신도 모르게 주변에 대형차가 있으면 빨리 추월하거나 뒤쳐지면서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안전운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운전법인 만큼 누구나 인지하였으면 한다.

최근 가장 부각되는 문제점 중 하나가 바로 화물차다. 얼마 전 화물차에 판스프링을 잘라서 적재함을 고정시키는 장비로 활용하는 부분을 크게 단속하는 경우가 있었다.

여러 번의 관련 사고로 날아오는 판스프링 조각으로 운전자가 사망하는 등 부작용도 컸기 때문이다. 당연한 단속이고 지속적인 계몽이 중요하다.

여기에 매년 수천 건 이상 발생하는 적재 낙하물 사고도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적재방법이나 적재물건은 물론 규정도 약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은 적재물건이 떨어져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후진적인 현상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을 벤치마킹하여 적재방법은 물론 폐쇄된 적재함 구성 등을 다시 마련하여야 한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아예 낙하물 사고를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이 상황에서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의 하나가 바로 화물차 후부안전판이다. 후부안전판은 화물차 뒤에 따라오는 승용차 등이 앞차의 급정지로 추돌할 경우 차량이 밀려들어오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최후의 보루로 안전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지지대다.

따라서 법적으로 후부 안전판은 야간을 위해 반사 능력이 뛰어나게 해야 하고, 높이를 최대 55cm 이하로 해야 범퍼 높이가 낮은 승용차 등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이미 예전에도 여러 번에 걸쳐서 필자가 후불안전판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추돌 방지 시 안전을 위해 높이를 낮게 설치해야 하는 의견을 피력하였으나 어느 누구도 나서서 안전조치를 못하고 있다.

이미 매년 화물차로 인한 관련 사망사고가 전체의 25%에 이르고 있어서 사망자수가 830 여명에 이를 정도다. 그 만큼 화물차 사고는 규모도 크며 심각한 인재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후부안전판 문제로 사망하는 운전자수도 증가하고 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후부안전판 중 높이가 높아서 심지어 75cm에 이르는 후부안전판도 있을 정도로 잘못된 위치를 가진 후부안전판 차량이 전체의 30% 이상에 이르고 있으며, 약 30% 이상은 용접이 허접하고 부식이 되어 후부안전판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을 정도다.

여기에 반사 기능도 떨어져 역할이 떨어지고 번호판 주변에 적재함 끈으로 가려져 있는 등 심각한 결격사유를 가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전체 화물차 후부안전판 중 불량이 90%에 이른다. 이러니 뒤따르던 승용차 등이 부닥치면 탑승자 전원이 사망하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정도이다.

최근 화물차 뒤에 추돌한 승용차는 평균 134cm 이르는 깊이로 엔진후드를 따라 파고든다. 탑승자가 설사 안전띠를 매고 에어백이 터져도 차량이 밀려들어오는 상황에선 아무 의미가 없다.

이제 바뀌어야 한다. 당연히 화물차 후부안전판은 엄격하게 기준 이하로 높이를 더욱 낮추어 설치를 바꾸고 보강해, 후부안전판을 지탱하는 지지대의 용접과 굵기 등 여러 안전조치를 취해야 한다.

당연이 반사판 정도를 더욱 강화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야간에도 시야 확보가 되도록 확실한 조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일각에서 화물차 운전자들이 언덕 등을 올라갈 때 뒷부분이 닿는다는 불평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인 만큼 생명을 담보로 하는 입장에서 당연히 취해야 할 조치다.

현재 해외에서 수입되는 대형 화물차 중에는 범퍼 높이가 낮고 후부안전판을 강화된 기능을 강조하는 사례가 있다. 아는 당연히 승용차 등 다른 차량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모범 사례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물차 후부안전판, 판스프링 활용은 물론 적재방법 등 전반적인 문제점을 하루속히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는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지금 이 시점에도 하루 한명 이상이 화물차 관련 사고로 사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직시했으면 한다. 특히 화물차의 후부안전판의 빠른 조치를 촉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