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조선후기 일본 인식에 관한 '교양서' 발간
상태바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조선후기 일본 인식에 관한 '교양서' 발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세기 원중거, 조선의 일본학을 열다
일본에 관한 백과사전 '화국지' 나라 이름을 '왜국' 아닌 '화국'으로 표기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컨슈머타임스 안우진 기자]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관장 김태희)은 실학교양총서 제6집으로 '원중거, 조선의 일본학을 열다'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저자는 하우봉 명예교수(전북대)로 18세기 후반 통신사로서 일본에 다녀온 원중거(元重擧, 1719~1790년)의 생애, 일본 인식, 저술 소개, 끼친 영향 등을 다루고 있다. 

원중거는 영조·정조 시대 인물로 박지원(朴趾源)·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유득공(柳得恭)·홍대용(洪大容) 등 당대의 대표적인 실학자와 교유했다.

1763년(영조 39)에는 성대중(成大中)·김인겸(金仁謙) 등과 함께 통신사로 일본을 다녀온 후 사행 체험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승사록(乘槎錄)'과 백과사전식 견문록인 '화국지(和國志)'를 써서 일본에 대한 이해와 객관적인 인식을 돕고자 했다.

특히 '화국지'는 일본의 지리와 역사, 정치,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백과사전 체제를 갖춘 일본국지(日本國志)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일본을 '왜국(倭國)'이 아닌 '화국(和國)'으로 표기한 것도 이채롭다. 

저자 하우봉 명예교수(전북대)는 40년간 실학자들의 일본 인식에 관해 연구해왔다. 통신사들의 일본사행의 기록인 사행록을 찾는 노력도 해왔는데 1985년에 일본의 오차노미즈 도서관에서 원중거의 '화국지'를 발견했다.

하 교수는 원중거에 대해서 열린 자세로 일본을 객관적이고 실용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했다고 평가하고 '화국지'에 대해서는 '조선후기 일본인식의 최고봉'으로 '일본학'을 수립했다고 평가했다. 하 교수의 저서로는 '조선시대 한국인의 일본인식'(2006), '조선시대 바다를 통한 교류'(2016) 등이 있다. 

실학박물관 김태희 관장은 "일본은 우리의 중요한 이웃인데도 정작 잘 모르는 면이 있습니다. 예나 이제나 객관적 정보와 충분한 이해보다는 편향된 이념과 섣부른 감정이 앞서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중거가 '화국지'를 쓴 것은 일본에 대한 무지를 비판하고 일본을 아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였습니다. 그의 객관적이고 실용적인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임진왜란 부분을 쓸 때는 일본 측 자료를 활용해 자세히 기술했는데 와신상담의 뜻도 있었죠. 일본 군국주의가 우리나라를 침략한 과정에 관해서 일본 측 자료를 통한 충분한 복기가 이뤄졌는지 모르겠습니다. 하우봉 교수의 이번 저서가 전통시대 우리의 일본 인식을 되돌아보고 오늘날 우리가 일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고 말했다.

한편 실학박물관에서는 '실학교양총서' 시리즈로 '다산, 조선의 새 길을 열다'(공저),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공저), '실학, 조선의 재건을 꿈꾸다'(공저), '백성의 무게를 견뎌라 –정약용의 삶과 흠흠신서 읽기-'(심재우), '다산, 공직자에게 말하다'(공저) 등을 펴낸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